방사능 방재요원, 기존 6명에서 20명으로 확대
전북도가 한빛원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능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체계적인 활동에 나선다. 전북도는 지난 5월 18일을 기준으로 고창 대부분과 부안 일부 지역이 방사능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됨에 따라 방사능 사고 발생 시 신속·정확한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새롭게 방재계획을 수립·시행한다고 지난달 25일 밝혔다.
이번에 마련된 계획은 4개 전략, 14개 중점과제로 시행된다. 이에 따르면 전북도는 방사능 방재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전담조직(산업안전팀)을 신설하고 인력을 충원하기로 했다. 또한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과 24시간 방사능 감시를 위한 원자력재난관리시스템 설치 협의를 거쳐 원전 안전유지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북도는 방사능방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자체 방사능 방재요원을 기존 6명에서 2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외에도 전북도는 오는 10월 대규모 연합훈련을 실시하는 등 비상상황 대응능력을 제고할 방침이다.
한편 비상대응체계 강화를 위해서 전북도는 원전 주변 주민보호용 방재시설·물품을 연도별 확보계획에 따라 확충·관리하고, 방사능 감지경보기 및 측정기를 주기적으로 검사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유관기관과 협력해 비상계획구역 확대에 따른 구호소를 6개소에서 20개소 이상으로 확대·지정한다는 방침이다.
전북도의 한 관계자는 “한빛원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능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광주와 전남 등 인근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업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전북도는 한빛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남, 광주시 등과 공동 건의문을 만든 바 있다.
공동 건의문에는 ▲원전사고에 대한 진상 철저 규명 및 사고내용 공개 ▲원자력안전위원회 독점인 규제·감시 권한을 지자체도 참여하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 ▲폐기물 이동, 피해보상, 원전폐로 추진과정에 시·도민 의사 반영 ▲방사능 방재 안전관리 시스템 추가 구축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