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투입현황 파악 가능해 사고예방 및 대처에 큰 효과 기대
서울시는 건설근로자공제회와 함께 건설현장 근로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제’ 사업을 9월부터 시범적으로 운영한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제는 RFID(전자출입체계) 기능이 탑재된 금융기관(하나카드, 신한카드)의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를 건설근로자가 출퇴근 시 사업장에 설치된 단말기에 태그하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다.
태그를 하면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시스템에 자동으로 등록돼 건설근로자의 출퇴근 확인은 물론, 업무투입 현황까지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시가 발주한 서남물재생센터 고도처리 및 시설현대화사업, 어린이병원 삼성발달센터 증축공사, 문정법무시설 신축공사현장 등 총 3개소에 이 제도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투입현황의 정확한 파악으로 안전사고 예방 및 신속한 대처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체계적인 근무이력관리를 통해 퇴직금 등 근로자들의 복지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인석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건설품질 향상과 안전사고 예방, 사고 후 대처 등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에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제 운영성과를 분석하고, 하반기부터는 서울시 공사장에 단계적으로 확대해 사회적 약자인 건설근로자의 안전과 복리 증진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