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부위에 얼음 직접 대는 행위는 피부 손상 야기
지난해 화상을 입어 병원을 찾은 환자가 50만명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화상 진료인원은 지난 2009년 45만4068명에서 2014년 50만5278명으로 연평균 2.2% 증가했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을 보면 ‘9세 이하’가 8만5336명(16.9%)으로 가장 많았다. 이 가운데 ‘1~4세’의 비중이 67.7%로 단연 높았다.
특히 10만명당 화상 진료인원을 계산해 보면 ‘9세 이하’는 1881명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약 2배가량 많았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어린이의 경우 호기심이 왕성한데 비해 신체조절 기능이 성인에 비해 미숙하고, 판단력 및 사고발생 시 대처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서는 “특히 영유아는 기거나 걷기 시작하면서 본능적으로 물건을 손으로 잡으려하기 때문에 아이가 뜨거운 것을 만지지 못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며 “아울러 주거지의 벽지, 아이들 잠옷 등은 불에 잘 타지 않는 것으로 하고, 주거지 내에서는 되도록 흡연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화상을 입었을 때에는 얼음을 직접 화상 부위에 대는 행위를 절대 해서는 안된다. 피부 손상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화상 부위를 식힌 후에는 혈액 순환을 위해 조이는 옷이나 장신구를 제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