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예산안 3조2254억원으로 편성

국민·청소년·안전분야 종사자 맞춤형 안전교육 실시
국민안전처가 맞춤형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범국민 안전문화운동을 적극 전개하기로 했다. 또 연구·개발(R&D) 투자 예산을 증액해 효율적인 재난대응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안전처는 2016년도 소관 예산안이 3조2254억원으로 편성됐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이 예산은 안전처 출범 후 처음 편성된 것으로 국민안전 강화와 안전혁신의 적극적인 추진을 위한 사업을 전개하는데 투입된다.
내년도 예산안의 편성방향 및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처는 생활안전 인프라 확충과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에 역점을 두고 예산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생활주변 안전위해 요소에 대해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안전신문고를 고도화(11억)할 계획이다. 또 긴급신고전화통합시스템(273억), 해상교통관제시스템(314억), 중앙119구급상황센터(신규 25억) 등을 구축해 실시간으로 긴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키로 했다.
소방 및 해경의 현장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도 추진된다. 안전처는 헬기 4대(소방 대형 1대, 해경 대형 1대, 중형 2대, 총 292억), 대형함정 3척(500톤 1 척, 3000톤 2척, 총 1,023억), 방제정 4척(유류 2척, 유해화학물질사고 대응 전용 선박 2척, 총 91억) 등을 연차적으로 도입해 대형·특수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시켜 나갈 방침이다.
특히 안전처는 재난 및 안전관리 소프트웨어 확충을 위한 투자를 강화하기로 했다. 실전과 현장중심의 국가재난대응종합훈련을 실시하기 위해 22억을 투입하고, 일반국민·청소년·공무원·안전분야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맞춤형 안전교육을 전개하기로 했다. 아울러 범국민 안전문화운동을 실시해 안전문화 정착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안전처는 선진국과의 재난안전기술 수준 격차를 좁히고 재난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인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R&D)에도 지속 투자(633억)하기로 했다. 특히 재난현장의 극한상황에서 효율적 대응을 위한 탐색구조장비 및 현장대응요원의 보호장비 등 기술개발이 시급한 소방(173→196억)과 해경(20→65억) 분야의 R&D 투자를 전년에 비해 강화했다.
마지막으로 안전처는 4147억원을 투입해 노후 소방장비 교체 및 안전시설 확충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안전처의 한 관계자는 “예산의 효율적인 운용을 통해 국민안전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