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전자 ‘맑음’, 자동차·기계 ‘흐림’
오는 연말 경기는 전반적인 부진 속에 전자·IT·건설 업종은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지만 자동차·기계·조선 업종은 불황이 계속될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1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등 10여개 업종단체와 공동으로 조사한 ‘2015년 4분기 산업기상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oT) 시장의 급성장으로 반도체가 대거 팔려나가는 전자·IT 업종과, 부동산 규제완화 및 공공투자 활성화 대책으로 긍정적인 기류가 흐르고 있는 건설업종이 호조를 띨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기계와 자동차, 유화, 철강, 섬유 업종은 ‘흐림’, 조선 업종은 ‘비’로 전망되면서 4·4분기 국내 산업기상은 전반적으로 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전자·IT업종을 이끌 품목은 반도체다. 반도체는 스마트폰, 스마트시계, IoT,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 반도체 수요가 확산되면서 8월까지 누계 수출이 전년 대비 5.8% 늘었다. 이에 힘입어 4분기 전망도 밝다. 게다가 삼성 ‘갤럭시노트5’ 등 신제품 출시에 따른 스마트폰 수출 확대,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울트라고화질(UHD) TV 등 프리미엄 TV 수요확대 등이 상승세에 힘을 보탤 전망이다.
지난 여름 철근품귀현상까지 빚었던 건설업종도 연말까지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규제완화(LTV·DTI 완화) 등으로 민간의 주택수주가 전년 동기대비 97.3%(7월 누계)나 늘었고, 상반기 저조했던 공공수주도 3분기 들어 회복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특히 4분기에는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집행도 앞두고 있다.
◇수출악화로 자동차·기계·조선업종 ‘고전’
반면 수출감소와 경쟁국 통화약세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업종은 ‘흐림’으로 예보됐다. 러시아시장은 전년 동기대비 수출대수가 68.6%(7월 누계) 감소했고, 중동과 중남미도 각각 10.1%, 17.1%씩 감소해 연말까지 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엔저에 따른 가격경쟁력도 약화도 골칫거리다.
안 그래도 힘든 기계업종은 중국경기 부진과 엔저라는 악재까지 겹쳤다. 중국의 밀어내기에 몸살을 앓는 철강업종도 ‘흐림’이다. 정유·화학업종도 중국의 석유화학제품 수요 감소와 자급률 상승으로 전망이 우울하다.
특히, 어닝쇼크와 신조 발주량이 급감하는 조선업종은 ‘비’로 점쳐질 만큼 전망이 어둡다. 대한상의는 “코스피200에 포함된 조선업체의 영업이익률을 분석해본 결과 1분기 -0.97%, 2분기 -27.99%를 기록할 정도로 수익성 악화가 심각하다”고 밝혔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글로벌 하방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많은 업종이 공급과잉에 시달리고 있지만 중국을 대체하는 시장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선제적 구조조정과 제품 고부가가치화 등 사업구조 개편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비즈니스 환경변화에 빠르게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