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초대형 원전 단지 11곳 중 4곳이 국내 소재

한국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우려 표명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한국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우려를 표명했다.
지난 11일 그린피스의 환경감시선 레인보우 워리어호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숀 버니(Shaun Burnie) 그린피스 독일사무소 수석 활동가는 한국 정부의 원전확대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가라앉고 있는 원전사업이라는 배에 장기 승선 티켓을 구매하는 격”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이날 ‘원전확대 정책의 위험성’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버니 수석은 “재생가능에너지 산업의 성장은 이미 원전 산업을 압도하고 있다”면서 “한국도 하루 빨리 독일과 같이 단계적인 탈원전을 통해 재생가능에너지 산업이 제공하는 새로운 기회를 찾는 경쟁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전 세계 원전은 438곳으로, 이들 원전의 발전량은 2006년 2660TWh를 기록한 이후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원전 발전량은 2410TWh로 약 9% 정도 감소했다. 그린피스는 이 같은 추세에 대해 2030년이면 세계 원전 개수는 절반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원전을 6개 이상 운영하는 초대형 원전 단지는 세계에 단 11곳이며, 이중 한국의 원전단지 4곳이 모두 이에 포함됐다. 한국이 현재 운영 중인 원전은 모두 24기이며, 건설 중인 원전은 4기이다. 더불어 8기를 건설할 계획 중이다.
건설이 완료된 신고리 3·4호기가 운영을 시작하면 고리원전은 세계 최대 규모이며, 신고리 5·6 호기가 추가로 건설되면 고리원전 단지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10개(2017년 고리 1호기가 폐쇄되면 9개)의 원전이 밀집된 지역이 된다.
캐나다의 경우 원전 다수호기 부지의 위험성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한 법적 제도를 구축하고, 평가 방법론을 개발 중이다. 하지만 한국은 관련 제도와 장치가 미비하다고 그린피스는 지적했다.
이에 따라 그린피스는 고리원전에 더 이상의 신규 원전이 건설되는 것을 막기 위한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가한 고수인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기후에너지 활동가는 “고리원전은 조만간 8개의 원전이 밀집돼 세계 187개 원전 단지 중 최대 규모가 된다”며 “후쿠시마 사고에서 보았듯이 원전을 밀집해 운영하면 사고 확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사고 시 피해도 커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인근 30km에 상주하는 17만명의 거주민들에게 약 200조원의 경제적 피해를 입혔다”고 강조하며, “현재 고리원전 인근 30㎞에는 340만 명이 넘는 시민이 살고 있고, 다수의 핵심 경제 시설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 봤을 때 추가 원전 건설은 용납할 수 없는 위험이다”라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탈핵 시민단체 연합의 대표들도 고리원전의 위험에 대한 불안감을 보이며, 한국 정부가 시민이 원하는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했다.
참고로 그린피스는 1971년 캐나다에서 시작된 국제환경단체로,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나 기업의 후원을 받지 않으며, 오로지 개인후원자와 독립재단의 기부로만 운영된다. 현재 전 세계 55개국에서 기후에너지, 해양보호, 산림보호, 독성물질제거, 북극보호, 건강한 먹거리 등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