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6개월 이상 근속한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정규직 전환율이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양창영 의원(새누리당)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2년 27.9%였던 정규직 전환율은 2013년 25.6%, 2014년 20.6%로 매년 하락했다.
반면 계약 종료율은 2012년 51.7%, 2013년 53.3%, 2014년 58.6%로 증가세를 보였다. 계속 고용은 20% 수준을 유지했다.
또 2010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비정규직 패널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기간제법 적용 임금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율은 15.1%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15~34세의 경우 10.5%, 35~54세는 19.8%의 정규직 전환율을 보였다. 즉 연령대가 높을수록 정규직 전환율도 높았던 셈이다.
양 의원은 “최근 정부가 기간제·파견 등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한 사업주에게 근로자 1인당 매달 임금상승분의 70%를 지원하기로 한 것은 정규직 전환 진작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며 “궁극적으로 지속적이고 상시적인 업무영역은 정규직을 채용토록 하는 풍토를 조성하는데 정부가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양창영 의원(새누리당)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2년 27.9%였던 정규직 전환율은 2013년 25.6%, 2014년 20.6%로 매년 하락했다.
반면 계약 종료율은 2012년 51.7%, 2013년 53.3%, 2014년 58.6%로 증가세를 보였다. 계속 고용은 20% 수준을 유지했다.
또 2010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비정규직 패널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 기간제법 적용 임금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율은 15.1%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15~34세의 경우 10.5%, 35~54세는 19.8%의 정규직 전환율을 보였다. 즉 연령대가 높을수록 정규직 전환율도 높았던 셈이다.
양 의원은 “최근 정부가 기간제·파견 등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전환한 사업주에게 근로자 1인당 매달 임금상승분의 70%를 지원하기로 한 것은 정규직 전환 진작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며 “궁극적으로 지속적이고 상시적인 업무영역은 정규직을 채용토록 하는 풍토를 조성하는데 정부가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