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 꼽는 최악의 상사는 ‘후배 공을 가로채는 상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재직 중인 회사에 이 같은 ‘최악의 상사’가 있다고 대답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409명을 대상으로 ‘최악의 상사 유형’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대다수가 최악의 상사로 ‘후배들의 공을 가로채는 상사’(20.5%)를 꼽았다. 다음으로 ‘모든 말에 복종하길 바라는 권위적인 상사’(18.8%), ‘사사건건 감시하는 상사’(17.4%), ‘퇴근 후나 주말에 일시키는 상사’(13.2%), ‘일도 못하고 힘도 없는 무능한 상사’(10.8%) 등의 순이었다.
재직 중인 회사에 최악의 상사가 있는지를 물은 결과 75.8%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최악의 상사를 대처하는 방법에는 ‘겉으로는 잘 지내고 마음속으로만 싫어한다’(45.5%,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되도록 신경쓰지 않으려고 노력한다’(43.2%)가 뒤를 이었다. 또 ‘이직할 곳을 알아본다’(27.7%), ‘업무적으로 꼬투리가 잡히지 않도록 한다’(19.7%), ‘대놓고 무시한다’(18.1%)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응답자 가운데 42.4%는 ‘최악의 후배 유형’으로 ‘자주 지각하거나 자리를 비우는 불성실한 후배’를 지목했다. 이어 ‘권력이 있는 상사에게만 잘하는 후배’(22.6%), ‘제대로 모르면서 물어보지 않고 업무를 진행하는 후배’(19.2%), ‘뒷담화를 좋아하는 후배’(12.7%), ‘자신감과 도전정신이 없는 후배’(12.7%), ‘잘난 척만 하고 일은 제대로 못하는 후배’(11.0%), ‘말대꾸 하는 후배’(9.3%) 등이었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409명을 대상으로 ‘최악의 상사 유형’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대다수가 최악의 상사로 ‘후배들의 공을 가로채는 상사’(20.5%)를 꼽았다. 다음으로 ‘모든 말에 복종하길 바라는 권위적인 상사’(18.8%), ‘사사건건 감시하는 상사’(17.4%), ‘퇴근 후나 주말에 일시키는 상사’(13.2%), ‘일도 못하고 힘도 없는 무능한 상사’(10.8%) 등의 순이었다.
재직 중인 회사에 최악의 상사가 있는지를 물은 결과 75.8%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최악의 상사를 대처하는 방법에는 ‘겉으로는 잘 지내고 마음속으로만 싫어한다’(45.5%,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되도록 신경쓰지 않으려고 노력한다’(43.2%)가 뒤를 이었다. 또 ‘이직할 곳을 알아본다’(27.7%), ‘업무적으로 꼬투리가 잡히지 않도록 한다’(19.7%), ‘대놓고 무시한다’(18.1%)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응답자 가운데 42.4%는 ‘최악의 후배 유형’으로 ‘자주 지각하거나 자리를 비우는 불성실한 후배’를 지목했다. 이어 ‘권력이 있는 상사에게만 잘하는 후배’(22.6%), ‘제대로 모르면서 물어보지 않고 업무를 진행하는 후배’(19.2%), ‘뒷담화를 좋아하는 후배’(12.7%), ‘자신감과 도전정신이 없는 후배’(12.7%), ‘잘난 척만 하고 일은 제대로 못하는 후배’(11.0%), ‘말대꾸 하는 후배’(9.3%) 등이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