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륜자동차는 일반자동차보다 사고발생 위험 높아
긴급자동차를 제외한 오토바이 등 이륜자동차의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을 금지하는 ‘도로교통법’과 이를 위반 시 처벌토록 한 규정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나왔다. 헌재는 이모씨가 도로교통법 제63조와 벌칙 조항인 제154조에 대해 청구한 사건과 관련해 합헌 결정을 내렸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참고로 도로교통법 제63조는 긴급자동차를 제외한 오토바이 등 이륜자동차의 고속도로 등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 제154조에서 3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헌재는 “이륜자동차의 자동차전용도로에서의 운행을 허용할 경우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안전은 물론 일반자동차 운전자의 안전까지 위협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는 “자동차전용도로는 해당 구간을 연결하는 일반교통용 다른 도로가 있는 경우에 지정되므로, 자동차전용도로의 통행을 금지하더라도 그로 인한 불편은 최소화되고 있다”라며 “해당 조항이 과잉금지원칙에 반해 청구인의 일반적 행동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 “이륜자동차는 구조적 특수성으로 일반자동차보다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고, 사고결과가 중대하다”며 “일반자동차보다 자동차전용도로 통행의 자유가 제한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불합리한 차별이라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앞서 이씨는 지난 2013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이륜자동차 통행이 금지된 자동차전용도로인 내부순환도로에서 이륜자동차를 운전한 혐의로 벌금 20만원과 30만원을 각각 선고받았다.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한 이씨는 항소심에서 해당 조항에 대해 위헌제청신청을 했지만 기각되자, 일반적 행동자유권 등을 침해한다며 지난해 7월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