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4명중 1명은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는 OECD 국가들 중에서 저임금 고용비중이 매우 높은 나라에 속했다.
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이 내놓은 ‘저임금 고용의 추세와 정책선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저임금 고용비율은 24%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이 분야 연구의 관례에 따라 저임금을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 임금으로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임금 고용은 2006년 29%로 가장 많았고, 2014년에는 24%로 내려앉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저임금 고용비중은 조사 기간 임금근로자의 22% 이하인 적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OECD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저임금 비중을 보고한 30개 국가 중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임금근로자 중 저임금 근로자의 비중 추이를 연령별로 보면, 노동시장 진입연령을 제외하고는 모두 줄었다. 2004년엔 ‘15~24세’ 임금근로자 중 44.4%가 저임금 근로자였지만, 2014년에는 50.5%가 저임금 근로자로 나타났다. 주 근로층인 ‘25~54세’는 같은 기간 20%에서 15.6%로 감소했다. ‘55~64세’도 10년 전에는 46.4%가 저임금 근로자였지만, 2014년에는 39.2%로 줄었다. ‘65세 이상’은 과거와 현재 모두 80%에 육박했다.
저임금 근로자 중에서는 노인의 비중이 높아졌다. 2004년에는 저임금 근로자의 과반수(59.3%)가 ‘25~54세’였지만 10년 후에는 비중이 48.1%로 떨어졌다. 반면 ‘55~64세’의 비중은 같은 기간 13.6%에서 18.2%로, ‘65세 이상’은 6.5%에서 15.6%로 배 이상으로 뛰었다.
성재민 부연구위원은 “기술변화, 국제화에 따른 중간일자리 감소, 저숙련 서비스 일자리의 증가는 다시 나타날 트렌드”라며 “저숙련-저임금 서비스업 일자리에서 어떻게 하면 부가가치를 좀 더 높여 이들 일자리가 대체되는 중간 일자리를 보충할 수 있게 할 것인가에 집중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성재민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이 내놓은 ‘저임금 고용의 추세와 정책선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저임금 고용비율은 24%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이 분야 연구의 관례에 따라 저임금을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 임금으로 정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임금 고용은 2006년 29%로 가장 많았고, 2014년에는 24%로 내려앉았다. 그러나 우리나라 저임금 고용비중은 조사 기간 임금근로자의 22% 이하인 적은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OECD 국가들과 비교해보면, 저임금 비중을 보고한 30개 국가 중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임금근로자 중 저임금 근로자의 비중 추이를 연령별로 보면, 노동시장 진입연령을 제외하고는 모두 줄었다. 2004년엔 ‘15~24세’ 임금근로자 중 44.4%가 저임금 근로자였지만, 2014년에는 50.5%가 저임금 근로자로 나타났다. 주 근로층인 ‘25~54세’는 같은 기간 20%에서 15.6%로 감소했다. ‘55~64세’도 10년 전에는 46.4%가 저임금 근로자였지만, 2014년에는 39.2%로 줄었다. ‘65세 이상’은 과거와 현재 모두 80%에 육박했다.
저임금 근로자 중에서는 노인의 비중이 높아졌다. 2004년에는 저임금 근로자의 과반수(59.3%)가 ‘25~54세’였지만 10년 후에는 비중이 48.1%로 떨어졌다. 반면 ‘55~64세’의 비중은 같은 기간 13.6%에서 18.2%로, ‘65세 이상’은 6.5%에서 15.6%로 배 이상으로 뛰었다.
성재민 부연구위원은 “기술변화, 국제화에 따른 중간일자리 감소, 저숙련 서비스 일자리의 증가는 다시 나타날 트렌드”라며 “저숙련-저임금 서비스업 일자리에서 어떻게 하면 부가가치를 좀 더 높여 이들 일자리가 대체되는 중간 일자리를 보충할 수 있게 할 것인가에 집중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