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촌호수 주변의 지반 침하 현상을 정기적으로 점검해 나갈 태스크포스(TF)가 운영에 들어갔다.
국민안전처는 지난 17일 ‘석촌호수 주변 안전관리 추진단’(TF)이 첫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TF는 서울시, 송파구, 롯데 등 관계기관과 전문가 자문단이 참여한다. 단장은 최복수 안전처 생활안전정책관이 맡았다.
TF는 격월로 정기회의를 갖고 석촌호수 주변의 안전관리 이행 실태를 점검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이행 상황은 과장급으로 구성된 별도의 실무 TF가 수시로 회의를 열어 확인하게 된다.
우선 추진단은 서울시 용역에서 제시된 지하수 유출량 자료를 검증하고, 기존 자료 이외에도 대형공사장의 지하수 자료를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또 지하수가 최대로 유출됐을 경우를 가정해 지반안전성 모의실험을 시행하고, 대형공사장에서 유출된 지하수의 토사 함유 여부를 매달 체크하기로 했다.
이달 중에는 석촌호수 주변도로 지하부분의 동공(洞空)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지하투과레이더(GPR) 탐사’도 실시한다.
앞서 안전처는 지난달 19일 서울시의 석촌호수 수위 저하 연구용역 결과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서울시와 협의해 이를 보완하는 대책을 내놓았다.
서울시는 석촌호수 수위 저하가 지하철 9호선 공사와 제2롯데월드 공사로 발생했지만 지반 침하와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서울시가 수위 저하에 대한 원인만 밝혔을 뿐 안전성 조사는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논란이 일었고, 급기야 안전처가 전면 재조사를 벌였다.
국민안전처는 지난 17일 ‘석촌호수 주변 안전관리 추진단’(TF)이 첫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TF는 서울시, 송파구, 롯데 등 관계기관과 전문가 자문단이 참여한다. 단장은 최복수 안전처 생활안전정책관이 맡았다.
TF는 격월로 정기회의를 갖고 석촌호수 주변의 안전관리 이행 실태를 점검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이행 상황은 과장급으로 구성된 별도의 실무 TF가 수시로 회의를 열어 확인하게 된다.
우선 추진단은 서울시 용역에서 제시된 지하수 유출량 자료를 검증하고, 기존 자료 이외에도 대형공사장의 지하수 자료를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또 지하수가 최대로 유출됐을 경우를 가정해 지반안전성 모의실험을 시행하고, 대형공사장에서 유출된 지하수의 토사 함유 여부를 매달 체크하기로 했다.
이달 중에는 석촌호수 주변도로 지하부분의 동공(洞空)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지하투과레이더(GPR) 탐사’도 실시한다.
앞서 안전처는 지난달 19일 서울시의 석촌호수 수위 저하 연구용역 결과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서울시와 협의해 이를 보완하는 대책을 내놓았다.
서울시는 석촌호수 수위 저하가 지하철 9호선 공사와 제2롯데월드 공사로 발생했지만 지반 침하와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서울시가 수위 저하에 대한 원인만 밝혔을 뿐 안전성 조사는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논란이 일었고, 급기야 안전처가 전면 재조사를 벌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