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출범 1년 맞아 향후 정책방향 발표
영유아부터 노년기까지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체계 마련 앞으로 국가 재난안전관리체계가 기존의 사고 대응·수습 중심에서 예방과 현장 중심으로 전환된다.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지난 17일 출범 1년을 맞아 향후 ‘정책방향 및 전략’을 발표하였다.
먼저 안전처는 ‘개인의 안전은 자신과 가족의 행복’이라는 인식을 정착시키는 것을 전략목표로 수립하고, 이의 달성을 위해 ▲자연스럽게 습득하는 국민안전교육 ▲지자체 중심의 책임 있는 안전관리 ▲예방중심의 체계적인 안전관리 등 10대 정책과제를 추진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 안전처는 영유아 시기부터 노년기까지 생애주기별 안전교육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때는 안전관련 지식과 기능을 수요자 중심으로 쉽고 재미있게 전달해 국민들이 안전교육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국민생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지자체의 적극적인 현장 안전관리를 이끌어낼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도 재난·안전 전담 실국을 중심으로, 지방 경찰청·교육청, 시군구 등이 참여하는 지역안전정책조정회의를 정례적으로 구성·운영하여 지역차원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국민안전처를 포함한 정부 전반의 재난·안전관리 역량도 강화한다. 이를 위해 안전처는 주요 안전분야에 대한 부처별 안전점검과 관리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점검체계를 구축해서 사고를 예방할 계획이다. 특히, 국민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유형인 기반시설, 다중이용시설 등 20개 대상의 점검체계를 분석해서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점검상황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보완한다.
이와 함께 시기별로 발생가능한 재난·안전사고, 안전관련 주요 현안분야에 대해 현장중심의 선제적인 점검을 추진하는 한편, 국가안전대진단 기간에는 전문가와 국민의 참여를 확대한다.
이밖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민 안전수요를 파악해 선제적인 공공안전서비스를 제공하고, 미래 발생가능한 재난도 예측해서 대비해 나갈 계획이다.
박인용 국민안전처 장관은 “국민안전처의 향후 정책방향은 정부, 지자체의 안전관리 역량을 대폭 강화한 토대 위에 국민참여를 통해 국민과 함께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이라며 국민들의 동참과 협조를 요청하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