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내 117개 사업장, 공동체 운영 통해 사고대응 역량 강화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은 화학사고의 예방을 위해 민관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강청에 따르면 수도권 내 대·중소기업 117개사는 자발적인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기업 간 협업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공동체만 19개에 달한다.
한강청에서는 공동체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고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실시하고 있다.
참고로 수도권에는 전국의 40%에 해당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이 밀집돼 있다. 그만큼 화학사고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한강청은 상대적으로 안전관리에 취약한 중소기업이 지역적으로 인접해 있는 대기업과 안전관리 시스템 및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공동체간 인력 지원 사항, 취급물질, 방제물품 현황 등을 기록한 ‘공동체 협업카드’를 작성,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토록 하고 있다. 또 긴급한 상황에서 공동체 및 유관기관과 신속하게 연락할 수 있는 핫라인을 구축해 놓고 있다.
아울러 공동체 및 업종의 특수성을 감안해 사고 발생 시 신속·정확한 대응을 가능케 하는 ‘사고대응 매뉴얼’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각 공동체는 화학사고 대응을 위한 자체훈련 및 유관기관 합동훈련을 실시했으며, 지난 8월에는 파주 LG디스플레이에서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대규모 주민참여 합동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또 한강청에서는 지난 9월 모든 공동체가 참여한 가운데 간담회를 개최해 취급시설 개선 우수사례로 삼성전기를 선정해 장관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한강청의 한 관계자는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대규모 인명 및 환경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각별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며 “안전관리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이 공동체에 참여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