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안전원, 2014년 화학사고 104건 분석
지난해 발생한 화학사고의 절반가량은 ‘작업자의 부주의’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104건을 분석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화학사고는 주로 ‘작업자 부주의’(49건, 47.1%)에 의해 발생했다. 또 ‘시설관리 미흡에 의한 사고’가 33건(31.7%), ‘운전자 부주의로 발생한 사고’가 22건(21.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사고 유형은 ‘화학물질의 유출 또는 누출 사고’가 79건(7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관련 사고물질은 암모니아 16건(15.4%), 염산 12건(11.5%), 질산 9건(8.7%), 황산 8건(7.7%) 등이었다.
계절별로 보면 ‘7~8월’이 40건(38.5%)으로 가장 빈번했고, 이어 ‘9~10월’에는 20건(19.3%) 발생했다. 즉 화학사고의 절반 이상이 7~10월에 발생한 셈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이 기간이 여름 휴가철과 추석 등 휴일이 잦은 탓에 작업자의 안전의식이 느슨해지고, 시설관리에 소홀해지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안전원의 한 관계자는 “화학사고 사례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사업장 중심의 작업자 안전교육과 정기적 시설점검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화학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등 유관기관에 바로 신고하고 자체방제 활동, 주민대피 조치 등 초동조치를 효과적으로 취해야 화학사고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안전원은 지난해 발생한 화학사고 중 경기 남양주 암모니아 누출과 충남 금산 불산 누출사고 등 7개의 사고를 선별해 사고 원인, 현장 대응, 방제 조치 등의 상세한 정보를 담은 ‘2014년 중대사고 사례집’을 최근 발간했다.
이는 유역(지방)환경청,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소방서 등 사고대응 유관기관에 이달 말 제공될 예정으로, 안전원 화학안전정보공유시스템 누리집(csc.me.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