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의 실효성 높이기 위해 준비 단계부터 全 과정에 걸쳐 민간전문가 대거 투입
범국가적 재난 대비 능력 향상을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이 국민 참여형 훈련을 중심으로 개편된다. 또 훈련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훈련 준비부터 평가단계에 이르기까지 민간 안전전문가에 의한 컨설팅이 이루어진다. 국민안전처는 지난달 24일 ‘2016년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의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정부와 기관, 단체, 대기업 주도가 아닌 일반 국민이 훈련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대국민 참여형 훈련’이 대폭 확대된다.
이를 위해 안전처는 과거 재난이 발생한 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대피훈련을 중점 실시하는 한편 노약자, 장애인, 어린이 등 재난취약 대상자별 대피훈련을 강화해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훈련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적극 개발하는 가운데 국민들의 관심이 훈련을 넘어 ‘생활 속 안전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중 모든 국민의 참여가 가능한 체험과정이나 훈련, 이벤트 등도 마련한다.
또 훈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매년 3월경 시작하던 기본 계획 수립 일정을 예년보다 약 3개월 정도 앞당겨 진행하고, 준비 단계부터 전 과정에 걸쳐 민간전문가에 의한 컨설팅을 지원 받는다. 특히 이때는 기존 훈련전문가에 더해 재난유형별 전문가도 대거 투입할 계획이다.
평가결과에 대한 피드백도 더욱 깐깐해진다. 결과를 언론에 공개하는 것은 물론 하위 10%의 미흡한 기관에 대해서는 전문컨설팅단에 의한 역량강화 교육을 받은 후 9월경에 재훈련을 실시하도록 할 방침이다. 우수기관이나 개인에 대해서는 포상 및 재정적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한편 올해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5월 16일부터 20일까지 5일간 진행될 예정이며, 훈련에는 480여개 기관·단체가 참여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