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의존성 확대 우려’, ‘자금 등 경제적 문제’ 등이 원인
국내 기업 10곳 중 5곳만이 외부 기술·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외부 기술·지식 활용이란 연구소나 학계 등과 같이 공동으로 제품을 연구, 기획하거나 고객아이디어 등을 수렴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1일 국내 380개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외부 기술·지식 활용실태와 시사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71.1%는 ‘변화와 혁신을 위해 경영활동에 외부 기술·지식을 활용할 필요성을 느낀다’고 답했다. 하지만 실제로 외부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이에 크게 못 미치는 49.2%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 선진 기업보다 무려 30% 포인트나 낮은 수치로 국내 기업의 외부 기술 및 지식 활용도가 그만큼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약·의료(61.0%), 고무·플라스틱(57.1%) 분야에서는 외부 기술·지식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많았지만 철강·금속(30.0%), 조선·플랜트(29.4%)에서는 활용도가 떨어졌다.
연구개발(R&D) 비중이 높고 특허가 핵심경쟁력이 되는 제약산업과 소재산업은 외부 기술·아이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반면, 철강·금속·조선·플랜트 분야는 현장의 축적된 노하우나 공정운영의 효율성을 더 중시하다보니 외부의 정보를 잘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게 대한상의의 설명이다.
외부 기술과 지식을 활용하지 않는 원인으로 기업들은 ‘외부의존성 확대’(43.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자금 등 경제적 문제(33.2%), 폐쇄적 조직문화(11.9%), 경험 부족(5.7%)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외부기술을 활용하는 기업들은 시장점유율 상승, 생산성 제고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활용성과를 묻는 질문에 ‘신제품 출시, 틈새수요 선점 등으로 시장점유율이 상승했다’는 기업이 37.5%에 달했다. ‘원가절감, 제조기간 단축으로 인한 생산효율이 증가했다’는 기업은 33.9%로 분석됐다.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의 한 관계자는 “경영환경의 변화가 매우 빠른 만큼 남들이 잘하고 있는 것을 찾아가 빠르게 융합하고 사업화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며 “지식재산 관련 법·제도를 소유 중심에서 이용 중심으로 전환해 외부 기술·지식 활용이 활성화되어 성과를 함께 나누는 선순환 체제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