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항만 구조물 안전성 한층 강화
유지관리비용 20% 절감 가능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은 물이나 공기에 부식되지 않는 ‘FRP 하이브리드 보강근’을 개발했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참고로 보강근은 콘크리트 벽, 바닥, 보 등의 성능강화를 위해 삽입되는 철근이다. 콘크리트를 철근으로 보강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우리나라 주요 시설물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일반적인 시공방법이다.
다만 철근은 공기와 물에 노출될 경우 쉽게 부식되는 단점이 있다. 또 철근은 부식되면 팽창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에 따라 철근을 둘러싼 콘크리트에는 균열과 파손이 발생한다. 즉,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이다.
KICT 박기태 박사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FRP 하이브리드 보강근은 기존의 철근에 유리강화섬유를 합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부식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인장강도가 일반 철근에 비해 높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표면에 샌드 코팅(sand coating)처리를 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강화한 것도 특이점이다.
박기태 KICT 박사는 “FRP 하이브리드 보강근을 해양·항만 구조물에 적용하면 수명이 100년 이상 늘어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지관리 비용이 20%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