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 전국 화재발생현황 분석 결과 발표

화재원인 절반 이상 ‘부주의’…안전의식 개선 위한 정책 강화돼야
지난해 4만여건의 화재로 253명이 소중한 목숨을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 화재 발생원인의 절반 이상이 담배꽁초 방치 등 부주의로 나타나 국민들의 안전의식 개선을 위한 정책이 더욱 강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안전처는 지난 11일 ‘2015년 전국 화재발생현황’을 분석하여 발표하였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화재발생건수는 4만443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5.5% 증가한 수치로, 1일 평균 122건의 화재가 발생한 셈이다. 지난해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253명으로 2014년과 비교해 22.2% 줄었다.
화재발생 원인을 분석해보면, 전체 화재 중 53%(2만3516건)가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서는 전기적요인 20%(8,967건), 기계적요인 10%(4,510건) 등의 순이었다. ‘부주의’ 중에서는 ‘담배꽁초 방치’가 29%(6840건)로 가장 많았다. 그 뒤는 음식물 조리중(19%, 4515건), 쓰레기 소각(15%, 3441건), 불씨방치(12%, 2865건) 등의 순으로 많았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11시에서 오후 5시 사이’가 37.9%(1만6826건)로 가장 많이 화재가 발생하는 시간대로 나타났다. 장소별로는 ‘주거시설’에서 가장 많은 1만1587건(26%)의 불이나 심각한 취약성을 드러냈다. 주거시설 중에서는 ‘단독주택’이 54.5%(6315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는 아파트(25.2%, 2924건), 다세대(9.8%, 1139건) 등의 순으로 화재가 다발했다.
국민안전처는 이번 분석결과를 토대로 ‘화재발생 및 화재피해예방’ 대책을 더욱 적극적으로 펼칠 방침이다.
우선 전체화재의 약 26%, 사망자의 66%를 차지하는 주택화재의 예방을 위해 주택가 소방차량 출동로 확보, 주택화재예방 홍보활동 등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단독주택과 공동주택(APT 및 기숙사 제외) 등에 소화기구 및 단독경보형감지기를 확대 설치한다.
윤순중 국민안전처 소방정책국장은 “부주의와 전기적요인이 주택화재 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난 만큼, 집안에서 화기취급 시에는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외출을 할 때는 전기·가스시설의 안전을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