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영 핫이슈

제조업 부가가치·최신기술 응축도 부문 등 1·2위
생산성 부문에서는 39위에 그쳐
한국이 3년 연속 가장 혁신적인 나라로 선정됐다.
美블룸버그통신은 지난 19일(현지시간) ‘2016년 블룸버그 혁신지수(Bloomberg Innovation Index)’에서 한국이 91.31점을 기록해 세계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4년과 2015년에 이은 세 번째 쾌거다.
참고로 블룸버그는 지난 1981년에 설립, 금융정보와 뉴스 등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또 매년 200개 이상의 국가를 대상으로 연구개발(R&D) 투자 집중도·제조능력·생산성·첨단기술 비중·고등교육 효율성·연구원 분포도·특허등록활동 등 7개 부문을 조사해 종합 혁신지수를 산정, 발표하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선정된 가운데 2위는 독일(85.54점)로 나타났다. 스웨덴과 일본은 85.21점, 85.07점으로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스위스(84.96점)와 싱가포르(84.54점), 핀란드(83.80점), 미국(82.84점)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제조업 부가가치’와 ‘고등효율’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강도’와 ‘최신기술 응축도’, ‘특허활동’ 부문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반면 연구원들의 집중도는 6위, 생산성 부문에서는 39위에 그쳤다.
블룸버그통신의 한 관계자는 “한국은 저임금을 기반으로 한 중국과 첨단기술을 지니고 있는 일본 틈새에 끼어 있기 때문에 불안감과 절박감을 느끼고 있다”며 “이 같은 지정학적 환경이 혁신기술 개발의 원동력이다”라고 설명했다.
덧붙여 이 관계자는 “만일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혁신지수가 높은 경제는 생산성도 높아지게 된다”라고 밝혔다.
한편 ‘G2’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은 블룸버그 혁신지수에서 각각 8위(82.84점)와 21위(72.12점)에 그쳤다.
블룸버그는 중국이 경제 수준에 비해 뒤처지는 점수를 받은 가장 큰 원인으로 중국의 기술들이 대부분 스스로 개발한 것이 아니라 외국의 것들을 모방했다는 것을 꼽았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