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반 이상이 대기업 근로자, 수도권에 집중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가 전년보다 4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작년 공무원, 교직원 등을 제외한 남성 육아휴직자는 4872명으로 전년 대비 42.4% 증가했다. 전체 육아휴직자 8만7339명 대비 비율은 5.6%로, 전년의 4.5% 대비 1.1%포인트 올랐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300인 미만 중소기업 근로자 비중이 더 높았지만, 남성 휴직자는 절반 이상이 대기업에서 발생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출판·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도·소매업 종사자가 많았고,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은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 보면 남성 육아휴직자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절반 이상(69.1%)이 집중돼 있었고, 공공기관이 많은 대전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육아휴직 대신 일하면서 육아도 할 수 있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자’도 급증했다.
지난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이용한 남성은 전년 대비 84.7% 증가한 2061명으로 집계됐다.
이 제도는 만8세 이하 자녀를 둔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최대 1년간 육아휴직 대신 근로시간 단축을 할 수 있다. 정부는 단축된 근로시간(주당 15~30시간)에 비례해 감액된 임금의 일부(통상임금의 60%)를 지원한다.
특히 인력 공백 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중소기업에서 활용도가 높았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자 중 300인 미만 중소기업 근로자 비중은 76.5%에 달했다.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 “남성 육아휴직과 전환형 시간선택제를 활용하면, 아이가 만2세까지는 부모가 각각 육아휴직을 쓰면서 직접 키우고, 그 이후에는 부모가 전환형 시간선택제로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