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이모저모
일주일 중 1.3회 술자리, 회당 4만6000원 지출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주량이 센 것이 회사생활에 이득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264명을 대상으로 ‘직장생활과 술’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70.7%가 ‘술을 잘 먹는 것이 직장생활에 도움된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사적인 친밀도를 높일 수 있어서’(74.6%,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술자리 태도도 평판 등에 영향을 미쳐서’(36.6%), ‘업무상 술자리가 도움 되어서’(30.6%), ‘주사 등 안 좋은 모습을 방지할 수 있어서’(28.2%), ‘술 잘 먹는 사람을 선호하는 분위기라서’(23.4%) 등의 응답이 있었다.
또 절반 이상인 56.9%는 ‘능력보다는 술자리 처세로 좋은 평가를 받는 사람을 본 적 있다’고 대답했고, ‘재직 중인 회사가 주량이 셀수록 능력 있는 직원으로 대우 받는 분위기’라는 응답도 20.7%였다.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술을 마시고 싶을 때가 있다는 응답자는 80.5%였다.
술을 찾게 되는 상황 1위는 ‘다음날 휴무라 마음 편히 마실 수 있을 때’(41.6%)였으며, ‘과도한 업무가 주어질 때’(39.9%)가 뒤를 이었다. 계속해서 ‘상사 등에게 혼났을 때’(39.7%), ‘동료 등 대인관계에 문제가 생겼을 때’(36.1%), ‘회사에 비전이 보이지 않을 때’(32.9%), ‘함께 일하던 동료가 퇴사할 때’(29.1%) 등을 선택했다.
평소 회사 사람들과 공식적인 회식 외에 별도의 술자리를 가지는 편인지에 대해서는 54.9%가 ‘그렇다’라고 밝혔다.
술자리 횟수는 일주일 중 평균 1.3회였으며, 술자리 1회당 평균 4만6000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술값 계산은 ‘돌아가면서 한다’는 응답이 34.7%로 가장 많았고, ‘상사나 연장자가 주로 한다’(30.5%), ‘무조건 더치페이 한다’(17.9%), ‘술자리를 먼저 제안한 사람이 주로 한다’(12%)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술자리에서의 대화 주제 1위는 ‘업무, 회사에 대한 성토’(45.8%)였고, 이어 ‘회사 사람 뒷담화’(16.1%), ‘회사 내 사건사고’(13.4%), ‘사회 전반적인 이슈’(8.2%) 등을 선택해, 사적인 일보다는 사내 이슈에 대한 대화가 주를 이뤘다.
한편 직장 내 술자리에서 가장 꼴불견인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술을 강요하는 사람’(26%)이었고, ‘권위적으로 행동하는 사람’(18.4%), ‘자기 주량을 조절 못해 주정하는 사람’(18.3%), ‘잔소리 등 지적이 많은 사람’(13.6%), ‘1차, 2차 릴레이를 강요하는 사람’(8.4%), ‘술자리에서 업무 이야기를 하는 사람’(8.4%) 등이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