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10명 중 8명, 회사에서 불이익 받아
우리나라 여성 직장인들의 대부분이 일과 육아의 병행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이 여성 직장인 612명을 대상으로 ‘일과 육아 병행’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97.7%가 ‘일과 육아의 병행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응답했다. 특히 이들 중 33.6%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재직 중인 회사에 일과 육아 병행을 위해 배려하는 제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7.3%가 ‘없다’라고 대답했다.
실제 워킹맘들이 일과 육아를 병행하며 겪고 있는 고충에 대해 물은 결과, 현재 자녀가 있는 여성 직장인(299명) 중 79.6%는 ‘회사에서 출산 및 육아와 관련해 차별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차별 받은 내용(복수응답 가능)으로는 ‘육아휴직제 사용 눈치(45.8%)’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연봉인상 등 임금 차별(25.6%)’, ‘승진 누락(21.4%)’, ‘퇴사 압박(19.7%)’, ‘성과 인정 못 받음(14.7%)’, ‘중요한 업무에서 배제(10.5%)’ 등이 있었다.
자녀 양육으로 인해 일을 그만두고 싶은 순간을 묻는 질문(복수응답 가능)에는 ‘체력적으로 힘들 때(61.5%)’를 첫 번째로 꼽았고, 그 뒤로는 ‘자녀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할 때(46.2%)’, ‘대신 봐주는 부모님에 눈치 보일 때(35.1%)’, ‘직장에서 눈치를 줄 때(34.4%)’, ‘육아분담이 불균형해 부부갈등이 생길 때(26.4%)’, ‘번 돈을 고스란히 양육비로 쓸 때(19.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돌보는 방식으로는 과반수가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에 맡긴다(52.5%)’고 응답했고, 그 외에는 ‘부모님에게 맡긴다(27.8%)’, ‘학원, 문화센터 등 사설기관에 맡긴다(8%)’, ‘베이비시터 등을 고용한다(4.7%)’ 등이 있었다.
현실상 일과 육아 병행이 어렵다 보니, 미혼 여성 직장인(237명)의 64.6%는 결혼 후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다시 복귀하기 어려울 것 같아서(51%)’가 가장 많았고, ‘경제적으로 독립되고 싶어서(33.3%)’, ‘가정에 보탬이 되고 싶어서(20.3%)’, ‘일을 하며 보람을 느끼고 싶어서(17%)’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한편 직장생활과 육아를 병행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단축근무 사용 활성화(34%)’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재택 등 유연근무 활성화(20.9%)’, ‘공공 무료 보육시설 확충(13.6%)’, ‘육아휴직제 확대(11.4%)’, ‘사내 보육시설 확충(9.3%)’ 등을 들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