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도시관리체계 서비스 제공 온라인으로 도로굴착 허가 처리 가능
땅 속에 묻혀 있는 상·하수도, 전기, 가스, 통신 등 다양한 도시기반시설물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가 전국 최초로 인천에서 시작된다. 인천광역시는 지하매설물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UIS(Urban Information System, 도시기반시설물 관리체계)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참고로 기존의 도시기반시설물 관리체계는 자료관리 중심의 시스템이다 보니 도시발전에 따른 새로운 정보를 구축하거나 관리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도시안전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등 각종 정책결정 과정에 활용하는데도 제한적이었다.
이에 시는 도시관리체계를 플랫폼 기반으로 전환, 도시발전에 맞게 시설물을 능동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인 정보 활용이 가능하도록 이번 사업을 추진한 것이다.
이 관리체계에서 따라 시는 상·하수도, 전기, 송유관 등 지하 시설물과 도로, 공원 녹지 관리 시설물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기로 했다. 또한 새롭게 신설된 안전관련 부서와 협업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공유 기능도 강화한다.
특히 건설현장 관계자들이 도로굴착 시 종이서류를 지참해 30여 개의 유관기관을 일일이 방문해야 했던 불편함이 해소된다. 플랫폼을 활용해 온라인으로 민원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시스템을 활용하면 시설물에 대한 능동적인 안전관리도 가능해 진다. 대표적인 예로 다양한 콘텐츠를 융합한 새로운 지도정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시는 이를 통해 공간정보 업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UIS를 통해 지하매설물에 대한 안전관리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