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중 수은 확산 막기 위한 조치도 필요
광주의 한 시민단체가 수은중독 사고에 대한 조사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한 뒤에 원인 규명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집단 수은중독 사고가 발생한 광주의 A공장에 대한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영산강유역환경청에 촉구했다. 또 대기 중 수은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와 함께 수은농도가 높게 나타난 주민들을 대상으로 추가 조사를 실시한 뒤 정확한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23일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성명서를 발표했다.
연합은 성명서를 통해 “광주 광산구 A공장 인근 대기 중 수은농도가 계속해서 높게 나타남에도 영산강청은 시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지난해 11월 이 공장 주변의 2개 지점에서 대기 중 수은농도가 전국 평균의 20~40배에 달하는 것으로 측정됐다”라며 “하지만 영산강청은 현재 측정이 진행 중인 수은의 대기농도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A공장 인근 주민과 근로자 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은 중독 검사 결과, 17명이 영산강유역청이 제시한 기준치인보다 높았다”라며 “영산강청은 전체 조사 결과를 평균값으로 계산해 ‘평균 이하’라고 발표했고, 평균치보다 농도가 높게 나타난 주민·근로자에 대해 역학·추가 조사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서는 “영산강유역청은 조사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한편 대기 중 수은의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를 적극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