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때도 안전 위해요소 신고 시 봉사활동 인정 추진

내년부터 안전신문고 활용 실적이 높은 지방자치단체는 국비를 추가 지원받게 될 전망이다. 또한 학생이 방학 기간에 안전 위해요소를 신고하면 봉사활동 시간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민안전처는 지난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책설명회에서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안전신문고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안전처는 안전 위해요소 신고·처리 건수가 많은 광역시·도에 소방안전교부세를 추가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지원하는 형태로 주민과 지자체의 안전신문고 이용률을 높여 안전한 지역사회 만들기에 나서겠다는 취지다.
안전 위해요소 신고와 처리 건수를 5:5 비율로 산출하되 인구 수를 비례해 점수를 매기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정종제 안전처 안전정책실장은 “신고와 처리 건수는 5:5 비율로 하되 인구 수를 반영하는 안으로 내부 논의 중”이라면서 “정교한 시뮬레이션 작업을 거쳐 지원 규모도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정 실장은 “9억원을 들여 추진 중인 안전신문고 고도화 사업도 9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3월 들어 안전신고 대폭 증가
안전처는 또 방학 기간에도 학생이 안전 위해요소를 신고하면 봉사활동 시간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3월 들어 안전신고가 크게 증가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안전처에 따르면 3월 들어 안전 위해요소 신고 건수가 평소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처는 이달 1일부터 23일까지 안전신문고에 접수된 신고 건수는 8272건이라고 밝혔다. 하루 평균으로 따지면 360건이나 된다. 이는 최근 5개월(2015년 10월~2016년 2월)간 하루 평균 신고 건수 196건에 비해 1.8배 많은 수치다. 같은 기간 안전신문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설치 건수도 하루 평균 550건에서 1018건으로 증가했다.
안전처는 국가안전대진단 기간(2월 15일~4월 30일)을 맞아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와 함께 대대적인 홍보 활동을 벌인 결과, 안전신문고 신고 건수가 늘었다고 분석했다.
참고로 안전처는 그동안 지하철과 KTX 객실 내에서 안전신문고를 55만여회 홍보했다. 시외버스 1900여대와 옥외전광판 32개도 홍보 수단으로 활용됐다.
특히 안전처는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동안 학생이 안전 위해요소를 신고하면 봉사활동 시간을 인정해주고 우수 신고자를 포상하는 정책을 실시한 것도 한 몫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현재는 국가안전대진단 기간에 한해 안전신고 활동에 참여하면 1건당 1시간씩 하루 최대 4시간까지 봉사 시간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신고기간 중 최대 10시간까지 부여받을 수 있다.
정종제 안전처 안전정책실장은 “안전신문고로 신고한 학생에게 봉사활동 점수를 주는 제도와 연계한 마케팅이 효과를 본 것 같다”면서 “방학때에도 이 제도를 운영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협의하겠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