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경영 핫이슈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공급과잉 겪는 2~3개 취약업종 추가 선정도 고려정부가 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기존에 거론되던 업종들 외에도 산업 전반을 대상으로 공급 과잉 업종을 선별하는 등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구조조정 작업에 부담으로 작용했던 총선이 마무리된 만큼 본격적으로 좀비기업을 골라내겠다는 취지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7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가 열린 미국 워싱턴 DC에서 “구조조정은 꼭 필요한 것”이라며 “이미 비상계획은 세워져 있고,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만큼 직접 챙기겠다”고 말했다.
유 부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앞으로 구조조정이 지지부진한 상황이 지속될 경우 우리 경제에 큰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특히 올 연말이 되면 사실상 내년 대통령 선거 분위기로 전환돼 시간이 많지 않은 만큼 그 이전에 큰 틀을 매듭짓겠다는 구상이다.
실제로 정부는 해운, 조선,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을 5대 취약업종으로 분류하고 구조조정을 추진 중에 있다. 또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2~3개 취약업종을 추가로 선정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운업과 조선업은 구조조정이 시급한 업종으로 평가된다.
유 부총리는 “해운사들이 일종의 선박 임대료인 용선료와 관련해 현재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예상대로 안 되면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하며 “현대상선의 경우 현대증권을 매각하는 등 자구노력 중이지만 용선료 협상이 관건이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유 부총리는 “조선업은 고용 문제 등에 직접적인 임팩트가 있기 때문에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참고로 현재 조건부 자율협약 상태인 현대상선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이달 중 해외 선주와 용선료 인하 협상에 나설 방침이다. 또 한진해운은 자산 매각과 비용 절감을 통해 1조2000억원을 마련한다는 자구안을 갖고 채권단과 회생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조선업의 경우 공급과잉 문제가 심각해 ‘빅3’ 업체 간 사업 통폐합 등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구조조정과 관련해서 진전이 없을 경우 정부가 직접적인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