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취 권고 가이드라인’ 발표 예정, 담배의 유해성분 평가 위한 표준 분석법 마련
정부가 육류와 주류, 담배 등 발암가능 물질의 유해성을 평가해 본격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식품·의약품 안전기술 진흥 기본계획(2016~2020)’을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확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 육류의 경우 국민들의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하반기에 섭취 권고 가이드라인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유해 논란이 제기된 적색육과 가공육은 위해평가를 시행하고 장기 추적조사를 통해 2020년까지 결과를 내놓을 계획이다. 또 주류에 대해서는 안전관리 중심의 기준과 규격을 신설하고, 담배의 유해성분 평가를 위한 표준분석법도 마련키로 했다.
아울러 건강기능식품의 원료가 되는 물질의 진위를 확인하는 검사법, 식중독 고위험 식품군의 미생물 균총 분석기술, 세척제나 헹굼 보조제 등 위생용품의 성분 시험법 개발에도 나선다.
이밖에도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 등 신(新)성장 동력산업이 해외 시장에 적기에 진입할 수 있도록 신속한 인·허가체계(Fast-Track) 기반 구축을 위한 평가기술을 마련하는데 집중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개인 맞춤형 3D 의료기기, ICT 기술접목 융·복합 의료기기, 첨단 바이오의약품 등의 신속한 허가·심사와 품질관리를 위한 평가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정책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도 실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