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의료비 2015년 1조6285억원, 2011년 대비 7630억 증가

우리나라 치매 환자가 4년 새 50% 이상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에 따르면 치매 진료인원은 지난 2011년 29만5000명에서 2015년 45만9000명으로 4년 새 16만4000명(55%)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국민 의료비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치매 관련 국민 의료비는 2011년 8655억원에서 2015년 1조6285억원으로 7630억원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평균 17.7%가 증가한 셈이다.
치매 인구는 70대 이상 노년층에서 두드러졌다. 연령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80대가 42.8%로 가장 높았고 70대 35.6%, 90세 이상 10.2%, 60대 8.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심평원은 치매는 노인성 질환이기는 하지만 50세 미만 연령층도 전체 진료인원의 0.5%를 점유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치매의 주요 원인은 ‘알츠하이머병’인 것으로 나타났다.
알츠하이머병은 5년 전에 비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며, 2015년에는 전체 진료인원 중 약 72%를 차지했다. 이외 치매 원인은 뇌 질환, 대사성 질환, 중금속 오염 등으로 조사됐다.
참고로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 기능이 손상되면서 생기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다. 관련 질병으로는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파킨슨 증후군 등이 있다.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언어장애, 시간과 장소 혼동 등의 증상이 있으면 치매를 의심하고 즉시 전문의와 상담, 검진 등을 받아야 한다.
치매 검사는 ▲진찰 ▲혈액검사 ▲신경심리검사 ▲뇌 영상 검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혈관성 치매의 경우 초기에 발견되면 다른 종류의 치매보다 호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창환 심평원 전문심사위원은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독서 등을 통해 뇌를 사용하고 음주, 흡연 등을 멀리 해야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조기발견을 위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지난해 12월 ‘제3차 치매관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하반기부터 치매정밀검진(CERAD-K, SNSB 등 신경인지검사)비용을 건강보험에서 지원하고, 내년에는 중증 치매환자 가정에 요양보호사가 1년 동안 6일 이내로 24시간 상주하는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