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와 국가방역체계 연계 강화
‘제2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확정정부가 국가방역체계와 연계한 감염병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질병관리본부 또는 국립보건연구원을 세계보건기구(WHO) 협력센터로 지정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정부는 최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된 ‘제12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이하 국과심)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제2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2017~2021)’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참고로 국과심은 2009년 신종플루 사태 이후 신·변종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관련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복지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8개 부처로 구성·발족된 조직이다. 위원장은 질병관리본부장이 맡고 있다.
국과심에 따르면 이번 2차 전략은 감염병의 사전 유입차단, 초기 현장대응, 확산방지 등 국가방역체계 전 주기에 걸쳐 감염병 R&D 지원을 확대하고 범부처 총괄·조정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가방역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기술 역량 확보 ▲신·변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대응체계 확립 ▲감염병으로 인한 경제·사회적 비용 절감 ▲백신주권확보를 위한 백신산업육성 등을 목표로 세웠다.
먼저 정부는 ‘대유행(판데믹) 감염병’ 방역 현장에 필요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해 의료기관의 현장 대응 역량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범부처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추진위원회’를 통해 감염병 R&D의 전략을 수립하기로 했다.
국과심과는 별도로 감염병 R&D 추진 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는 ‘감염병 연구정보 공유 네트워크(가칭)’도 올 하반기 중에 구축된다. 민관이 함께 매년 부처별 감염병 연구 성과가 방역체계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한 뒤 예산 배분과 다음 연도 기획에 반영하게 된다.
2차 전략에는 해외유입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내용도 담겨 있다.
신종 감염병이 빈발하는 아프리카·동남아·중동 등 국가들과 검체, 병원균 확보, 임상연구 등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또는 국립보건연구원을 WHO협력센터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이외에도 정부는 한국과 유럽연합(EU)간 감염병 국제협력 컨소시엄을 통해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감염병 대응 연구 인프라와 인력 양성에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마련한 추진전략을 통해 국가방역체계를 선진화하고 국가 감염병 대응역량을 한 단계 향상시켜 나갈 것”이라며 “세부 실천계획은 올해 안에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