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처음으로 국장급 협의체 운영
고용부, ‘다중밀집시설 및 산업단지 대형사고’ 분야 담당정부가 특수재난에 대해 적극적인 예방 및 대응을 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했다.
정부는 지난 19일 8개 특수재난분야 주무부처와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특수재난분야 안전정책 조정실무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회의는 8개 특수재난 업무와 관련 있는 각 부처 국장급 공무원이 참여해 협업·지원 안건을 논의하는 자리다. 국장급이 한 자리에 모여 특수재난 소관 업무에 관해 의견을 나누는 회의는 이번에 처음으로 마련됐다.
지금까지는 부처 간 특수재난 협업 안건을 토의하기 위한 실무자 중심의 정책협의체만 운영됐다.
참고로 8개 특수재난은 ▲대형교통사고 ▲유해화학물질 누출 등 환경오염사고 ▲감염병 ▲가축질병 ▲원자력사고 ▲다중밀집시설 및 산업단지 대형사고 ▲전력·가스 등 에너지 사고 ▲정보통신사고 등 그 피해와 영향이 크고 여러 기관이 공동 대응해야 하는 재난이다.
국민안전처는 특수재난 관련 업무를 총괄하게 되며, 고용부는 산업단지 대형사고 예방·대응분야를 담당한다.
이외에 국토교통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원자력안전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등이 분야별로 활동하게 된다.
고용노동부의 한 관계자는 “특수재난은 재난관리책임기관 한 곳의 역량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렵다”면서 “위원회를 통한 협업체계를 구축해 특수재난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