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할인행사 정례화해 소비심리 자극해야
우리나라의 평균소비성향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억눌려 있는 소비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평균소비성향 변동의 기여요인 분해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평균소비성향은 72.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1인 이상 가구 통계가 공개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2010년 77.6%와는 5%p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다.
여기서 평균소비성향이 감소한다는 것은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보다 소비지출 증가율이 낮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지난해 평균소비성향은 72.4%인데 이는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100만원 늘어났을 때 추가적인 소비지출은 72만원 수준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평균소비성향이 줄어드는데 기여한 품목 수는 63개, 늘어나는데 기여한 품목 수는 34개다.
평균소비성향이 줄어드는데 기여한 품목수가 늘어나는데 기여한 품목 수 보다 두 배가량 많았다는 것은 평균소비성향 하락이 다양한 소비지출 품목들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균소비성향 하락에 크게 기여한 품목은 ▲통신서비스(-1.03%p) ▲운송기구연료비(-0.79%p) ▲연료비(-0.65%p) ▲고등교육비(-0.51%p) ▲학생학원교육비(-0.48%p) 등으로 조사됐다.
평균소비성향 상승에 기여한 품목으로는 ▲실제주거비(0.61%p) ▲자동차 구입비(0.53%p) ▲통신장비 구입비(0.52%p) ▲단체여행비(0.34%p) ▲문화서비스(0.16%p)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동향분석팀 연구위원은 “주거비가 늘어나고, 가계의 수요가 변화하면서 평균소비성향지수가 올라간 측면이 있다”라며 “반면 학령인구 감소 등 인구구조변화와 석유류의 가격 안정 등은 평균소비성향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그는 “평균소비성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수재 가격 안정으로 늘어난 가계의 소비여력이 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 등 다양한 부분의 소비로 연결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며 “가계의 니즈에 걸맞은 국내 관광 인프라를 확충해 해외로 빠져나가는 관광 수요도 국내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김 연구위원은 “전·월세 가격 안정화를 위해 관련 대책의 실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며 “코리아 그랜드 세일 등 대규모 할인행사를 정례화해 억눌려 있는 소비심리를 자극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