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 부산외국어대 인도학부 교수
타성과 전통의 틀로부터 벗어나서 세상을 바라보길…삶을 평가하는 것은 온당한 일일까? 그것도 어떤 삶이 옳고 어떤 삶이 그르다고 평가하는 일이라면 말이다. 조심스러운 이야기지만 ‘이 삶이 옳네, 그르네’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고 본다.
단지 말할 수 있는 것은, ‘나 자신은 이런 삶을 존중하고 이렇게 살고자 한다’, ‘나는 저런 삶은 추구하지 않고 저렇게 살고 싶지 않다’라는 정도라고나 할까. 누구의 삶이 화려하고, 누가 유명하고, 존경을 받는 그 삶이 옳은 것은 아니다. 사람은 각자 자신에게 처한 환경이 있고, 그 환경에 따라, 그 속에서 살 수밖에 없다.
그것을 극복한 삶도 의미가 있지만, 굳이 극복하지 못하고 그 안에 파묻혀 아등바등 살아온 삶도 나름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다른 이에게 위해를 가하거나, 사회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죄를 짓지 않았다면 이런 삶도 이해의 대상이 되어야 하고, 저런 삶도 이해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어떤 삶 전체를 놓고 봐도 그렇다. 물 흐르듯, 바위를 만나면 굽어 가기도 하고, 경사가 있는 곳에서는 쏜살같이 달리기도 하지만, 너른 들판에 와서는 가는 듯 안 가는 듯 하기도 하는 것 아닌가. 초지가 반드시 일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누구든 자신의 지나온 삶을 돌이켜보면, 부끄러운 것도 있고, 보여주고 싶지 않은 것도 있다. 물론 다른 사람들에게 자랑하고 싶은 것도 있다. 부분 부분이야 도려내버리고 싶을 때가 있겠지만, 그렇다고 그 삶 전체가 가치 없는 것은 아니다.
논에 나는 풀 가운데 우리가 ‘피’라고 이름 붙여 뽑아버리는 것은 우리가 ‘벼’라고 이름붙인 그 풀이 인간의 목적에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이다. 그 한 가지 이외에는 그 어떤 이유도 없다. 그 피가 벼에 대해 본질적으로 필요가 없는 존재는 아니다. 존재의 본질은 고려하지 않고, 삶의 유용성만 고려하는 것은 사람이 해야 하는 일이 아니다. 모든 이의 삶이 다 그렇다.
사회와 불화한 삶, 가정과 불화한 삶, 자본과 불화한 삶, 모든 불화의 삶도 그에게는 무한한 가치가 있다. 설령 그것이 가정과 불화하고, 세상과 불화하였다 할지라도 나름으로의 본질적 가치가 있는 모든 생각과 삶 그것을 듣고, 말하고, 나누고 하는 것이 옳다.
다만 내 스스로가 그렇게 살고 싶지 않으면 그렇게 살지 않으면 된다. 그 삶을 평가절하 하고, 부정하고, 욕하고 하는 태도는 사람이 하는 일이 아니다. 이 삶은 이 삶대로 인정하고, 저 삶은 저 삶대로 인정하는 그것이야말로 사람이 사람을 존중하는 것이고, 그런 세상이 바로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세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즈음에서 세상에서 만든 잣대라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자. 세상의 이치라는 것이, 자연의 이치라는 것이 밤이 있으면 낮이 있고, 높은 것이 있으면 낮은 것이 있다. 모두가 다 밤이 될 수도 모두가 다 높을 수만은 없다. 그것은 상대적인 것이다. 상대가 있음으로 그렇게 평가되는 것 말이다.
그 상대란 ‘나’ 밖에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나’ 안에 있을 수도 있는 그 상대 말이다. 더군다나 밤이 어두운 것은 밝음이 다시 오기 때문 아닌가. 그것이 자연의 이치 아닌가 말이다. 영원히 어둠만 있는 것이란 있을 수 없다. 그렇다면, 빛이 있어, 보이는 것이 있다면 빛이 없어, 보이지 않는 것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왜 분명히 존재하지만, 빛이 없어 보이지 않는 것들을 사람들은 인식하지 않으려 하는 것일까? 유한한 게 있으면 무한한 것도 있을 테고. 알 수 있는 것이 있으면 알 수 없는 것도 있을 텐데 말이다.
그 연장선에서 왜 모든 것을 다 알아야 하는가라는 의문도 드는 것이 자연의 이치 아닐까? 심지어는 그 이치에 순명하는 게 있으면, 거역할 수 있는 것도 있지 않은가? 규범이라는 이름으로 권력이 된 세상의 모든 이치라는 것들을 거역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은 이 대목에서다.
세상의 잣대로 나를 규정해 보자. 내 스스로를 생각하면 그 어느 잣대로 하는 규정이라는 게 얼마나 모순인지 잘 알 수 있게 된다. 나를 남자라 규정하면 내 안에 있는 여성성이 빠져버린다. 내 안에 여성성이 없지 않을 텐데 말이다. 남성성과 여성성 사이의 뭔가도 분명히 있을 테고. 나를 교수라 규정하면 나는 소위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그런 교수가 될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단지 직업인일 뿐인데, 왜 나를 그 직업 안으로 한정시키는가 말이다.
나를 아비라 부르는 것도 부분일 뿐이고, 진보 운동가라 부르는 것도 한 부분일 뿐이다. 그래서 우리에게 익숙하게 다가오는 여러 평가들은 그저 익숙한 것 일 뿐, 전부도 아니요, 본질도 아니다. 그저 타성이기도 하고 전통이기도 하는 것들이다.
그 규범이 정하는 일부분은 전체에 대한 폭력이다. 일종의 폭력. 난, 그 규범이라고 하는 일종의 폭력으로부터 벗어나고 싶다. 그런 까다로움을 취하고 싶다. 타성과 전통의 틀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에 따르는 삶, 나는 세상을 그렇게 보고, 그렇게 살고 싶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