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인력 구조조정 위기에 놓인 조선업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이하 경남상의협의회)는 고용노동부에 경남도 내 조선업체 밀집지역을 고용위기 및 고용재난 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건의했다고 최근 밝혔다.
경남상의협의회는 건의서에서 “조선업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수반되는 고용불안 문제 등에 대비하고 새로운 산업으로의 인력 재배치 지원을 위해 경남도 내 조선업체가 밀집한 창원시 진해구, 거제시, 사천시, 고성군을 ‘고용위기지역’으로, 2013년 고용촉진특별구역으로 지정됐던 통영시를 ‘고용재난지역’으로 각각 지정하고, 조선업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건의서는 또 “조선업 전반의 체질개선을 위한 산업 재편으로 해당 지역의 고용상황이 악화되고, 이는 곧 지역경제 침체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상대적으로 위기관리 능력이 취약한 협력업체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실직 및 임금체납, 전직 재취업 등이 이슈가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상의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현재 경남에는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사를 비롯해 10개의 조선소와 716개 협력업체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면서 “이 중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2개 회사만 해도 올해 말까지 협력사 포함 2만4000여명의 인력 감축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받게 되면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지원, 사회적일자리 및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등 일자리 관련 사업비를 다른 지역에 비해 우선 지원받을 수 있고, 고용유지지원금, 특별연장급여, 전직·재취업 등을 집중 지원받을 수 있다.
지난 2009년 쌍용차 사태로 평택시, 2013년에는 중소 조선업체의 구조조정으로 통영시가 각각 지정된 바 있다.
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이하 경남상의협의회)는 고용노동부에 경남도 내 조선업체 밀집지역을 고용위기 및 고용재난 지역으로 지정해줄 것을 건의했다고 최근 밝혔다.
경남상의협의회는 건의서에서 “조선업종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수반되는 고용불안 문제 등에 대비하고 새로운 산업으로의 인력 재배치 지원을 위해 경남도 내 조선업체가 밀집한 창원시 진해구, 거제시, 사천시, 고성군을 ‘고용위기지역’으로, 2013년 고용촉진특별구역으로 지정됐던 통영시를 ‘고용재난지역’으로 각각 지정하고, 조선업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건의서는 또 “조선업 전반의 체질개선을 위한 산업 재편으로 해당 지역의 고용상황이 악화되고, 이는 곧 지역경제 침체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특히 “상대적으로 위기관리 능력이 취약한 협력업체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실직 및 임금체납, 전직 재취업 등이 이슈가 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남상의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현재 경남에는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대형 조선사를 비롯해 10개의 조선소와 716개 협력업체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면서 “이 중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2개 회사만 해도 올해 말까지 협력사 포함 2만4000여명의 인력 감축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받게 되면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지원, 사회적일자리 및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등 일자리 관련 사업비를 다른 지역에 비해 우선 지원받을 수 있고, 고용유지지원금, 특별연장급여, 전직·재취업 등을 집중 지원받을 수 있다.
지난 2009년 쌍용차 사태로 평택시, 2013년에는 중소 조선업체의 구조조정으로 통영시가 각각 지정된 바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