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재난피해 최소화 위해 선제적 예방·피해대책 수립
국민안전처는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를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설정하고,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안전처는 이 기간동안 24시간 비상상황관리체계를 유지하는 한편 인명피해 우려지역을 특별 관리하는 등 만반의 대응태세를 갖출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안전처는 ▲선제적 상황관리체계 구축·운영 ▲인명피해 예방대책 및 안전관리 추진 ▲재해사업장 피해방지 관리 철저 ▲피해주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신속 지원 ▲재난유형별 행동요령 홍보 및 교육 등에 집중하기로 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안전처는 대책기간 동안 평시에는 4교대 상황근무를 실시하고, 예비특보 단계부터 비상근무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또 비상시 13개 협업기능별 근무체제로 전환해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안전관리도 강화된다. 산사태 지역, 급경사지, 하천구역 등 인명피해 우려가 있는 3009곳에 대한 특별관리를 실시한다. 또 예·경보시설을 24시간 상시 작동하고, 전국 1917개 배수펌프장의 전기·기계시설의 가동실태를 상시 점검키로 했다.
아울러 재해예방사업장 1037개소 및 미준공 재해복구사업장 23개소를 대상으로 피해방지 조치를 취해 재난피해 재발을 방지한다.
한편 피해주민을 신속하게 지원하고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안전처는 재해구호물자 2종(응급·취사 구호물품) 13만여 세트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비축기준대비 2.4배에 해당하는 수량이다. 또 인명구조와 구호품 수송에 헬기 137대를 지원받는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피해발생 시 재난지원금을 일주일 이내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휴대폰 문자 발송, SNS 등을 이용해 재난상황을 전파하고 자율방재단원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피해예방요령을 교육한다.
안전처는 지난 13일 9개 관계 중앙부처 담당국장과 17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올 여름 자연재난 대책회의를 개최하여 기관별 대응계획을 점검했다. 또 16일에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태풍 내습을 가정해 중앙대책본부와 관계부처, 지자체의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풍수해 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김희겸 안전처 재난관리실장은 “대규모 피해를 야기하는 자연재난의 특성상 정부의 대비·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국민들도 개개인의 안전을 위해 자연재난 대비 국민 행동요령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