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질환 현황조사 매년 실시…어업안전보건센터 추가 지정
정부가 어업 종사자들에 대한 안전보건관리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3일 어업인들이 건강하고 활기차게 어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어업인 직업성 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우선 어업인 질환 현황조사를 매년 실시해 작업 상황에 따라 노출될 수 있는 소음, 유해물질, 노동강도 등을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어업인이 겪는 질환이나 손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려는 목적에서다.
참고로 이미 지난해에는 양식어업과 맨손어업에 주로 종사하는 어업인 3000가구를 대상으로 질환 현황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해수부는 올해 어선어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조사 결과는 3년간 통계 유의성(보정)을 거쳐 관련 정책이나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또한 해수부는 지역별 어업안전보건센터를 통해 어업 작업과 어업인 질환과의 연계성에 대한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어업 작업자에 맞는 질환 치료법과 예방법, 어업인 교육자료 등을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해수부는 현재 3개인 어업안전보건센터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어업안전보건센터는 어업인의 질환 및 업무상 재해의 원인규명을 위한 조사·연구와 어업인 질환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등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해수부는 지난해 6월 인제대부산백병원, 경상대학교병원, 조선대학교병원 등 3개 기관을 어업안전보건센터로 지정한 바 있다. 현재 기관별로 3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해수부는 지역별 어업안전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지자체, 지역 보건소, 병원, 수협 및 어촌계 등과 협력 체계를 구축해 어업인 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어업인 질환 예방 및 치료 방법 등을 공유하고, 어업인에게 맞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서장우 해수부 수산정책관은 “그동안 어업인들이 양식장 등 특수한 환경에서 업무상 질환이나 재해에 노출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예방 관리는 소홀한 측면이 있었다”며 “앞으로는 어업인 직업성 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