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재해 10% 줄이기 총력…행정지도 강화
전남도가 임업재해 저감을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전남도는 산림산업 재해율이 타 산업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점을 감안하여 ‘산림 사업장별 재해 10% 줄이기’를 목표로 선정, 집중적인 지도·관리를 실시한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산림사업장 재해율은 2011년 2.11%에서 2015년 1.88%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체 산업 평균보다 여전히 3.8배 높아 이를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전남도의 임업재해 현황을 살펴보면 원목생산업과 산림사업법인에서 재해의 절반이 넘는 53.8%가 발생했다. 다발 재해 유형은 절단·베임·찔림(29%), 넘어짐(26%), 깔림(17%) 등의 순으로 72%가 산림작업의 특수성에 기인하고 있다.
이에 도는 ▲임목 벌채 등 산림사업장 작업원 배치 계획 ▲개인 안전보호구 착용 ▲작업자 안전거리 유지 ▲응급체계 구축 등 안전수칙 준수 여부를 수시로 지도·점검할 방침이다.
아울러 도는 안전관리가 소홀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과태료 부과 조치 등 행정지도를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도는 같은 날, 산림산업 사업장 관계자들의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활동도 실시했다. 이날 교육에는 산림 안전사고 취약 계층인 원목생산업자와 산림사업법인 등 관계자 총 3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안전사고 저감 목표관리법 및 목재수급 정책방향 등을 전파해 안전의식을 고취시켰다.
윤병선 전남도 산림산업과장은 “안전사고 예방교육과 철저한 점검을 통해 임업 현장 내 안전준수 문화가 확산하는 실질적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