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사상 최저 금리에 수익성 악화 우려

늘어난 통화량 ‘부동산 버블’ 일으킬 수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동결에 더 무게를 둔 전문가들의 예상을 깨고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수준인 연 1.25%로 전격 인하했다.
한국은행은 다음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할 때까지 기준금리를 현재의 1.50%에서 1.25%로 하향 조정한다고 지난 9일 밝혔다.
관련업계는 이번 금리인하에 따른 긍정적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하는 등 대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먼저 은행권의 경우 1%대의 최저금리로 인해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는 반응이다. 올해 1분기 국내 은행들의 핵심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저금리 여파로 대출금리와 수신금리간의 차이 수익인 예대마진이 감소한 영향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로 예대마진 이익까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며 “주수익 채널인 이자이익이 줄어드는 한 은행의 수익성은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서는 “이자이익이 줄어들면 다른 쪽으로 수익구조를 창출해야 한다”며 “낮은 금리로 고수익을 쫓는 투자자도 더 늘어날 것이다. 경영전략을 다시 짜야 할 시기”라고 밝혔다.
반면 증권가는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번 금리 인하가 가계와 기업의 부채부담을 낮춰주면서 기업 구조조정과 경기부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임동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금리를 낮추면 가계나 기업의 부채 상환 압력을 줄일 수 있다”며 “기업 구조조정 측면에서 기업들이 부채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설비 투자를 하기 어려운데 금리가 인하되면서 기업들이 회사채도 발행하고, 신규 대출지원 부담도 낮아지게 된다”고 밝혔다.
덧붙여 “경기가 회복되고 실적이 좋아져야 주가가 오른다”라며 “이를 확인해보려는 상황들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임 연구원은 “정부의 경우 추가적으로 금리 인하 이후에는 재정정책 확장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이 경우 풍부한 유동성과 경기 부양정책이 나오면서 시장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늘어난 통화량이 부동산 버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곽동철 IBK경제연구소 연구원은 “늘어난 통화량이 소비나 투자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동산 등을 구입하며 자산을 확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거시경제상황을 보면 집값 상승, 전월세 상승 등 부동산 버블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