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옴부즈만 위원회’ 공식 출범…종합진단 통해 개선방향 권고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장을 대상으로 종합진단을 실시하고 안전관리 개선안을 도출하는 ‘옴부즈만 위원회’가 지난 8일 공식 출범했다. 이날 이철수 옴부즈만위원회 위원장(서울대 법학과 교수)은 임현술 동국대 의과대학 교수와 김현욱 가톨릭대 의과대학 교수를 위원으로 선임하고 2개 분과위원회와 5개의 소위원회를 두는 위원회 구성안을 발표했다.
임현술 위원은 예방의학과 직업환경의학 분야 전문가로 대한예방의학회 이사장과 한국역학회장을 역임했다. 김현욱 위원은 산업보건 및 예방의학 분야의 권위자로 현재 한국산업보건학회 고문 및 호흡보호구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철수 위원장은 “학계와 관련 학술단체 등 광범위한 분야의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산업현장의 안전과 보건에 관한 최고의 전문가들로 위원회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참고로 옴부즈만위원회는 지난 1월 12일 삼성전자, 가족대책위원회, 반올림이 조정위원회에서 최종 합의해 설립된 기구다.
옴부즈만위는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라인에 대해 종합진단을 실시하고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안전보건관리 개선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추진과제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여부도 점검하게 된다.
아울러 종합진단 외에도 화학물질 관련 학술·정책 연구 등 재해예방과 실행방안의 수립을 위해 필요한 제반 활동을 삼성전자에 권고할 수 있다. 활동기간은 3년이며 필요할 경우 3년 범위 내에서 연장 가능하다.
옴부즈만위원회는 실무 활동을 위해 2개 분과와 5개 소위원회로 구성됐다. 임현술 교수가 위원장을 맡는 1분과는 종합진단을 실시하며 김현욱 교수가 위원장을 맡는 2분과는 화학물질 학술·정책 등을 조사연구하고 필요한 사항에 대한 제도개선 등을 검토하게 된다.
이철수 위원장은 “옴부즈만 위원회의 핵심 관건인 객관성과 전문성 그리고 공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위원회와 진단팀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위원회 출범의 토대가 된 합의 내용을 이행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진단과 객관적인 평가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