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동안 일평균 524건 접수
시설안전 분야 신고가 가장 많아 국민들이 일상생활 속 위험요소를 직접 신고하는 ‘안전신문고’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안전신문고가 개통된 2014년 9월 30일 이후부터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이 마무리 된 지난 4월 30일까지 접수된 안전신고 12만895건을 분석해 발표했다.
안전처에 따르면 안전신문고 개통 첫 해인 2014년에는 일평균 16건에 불과한 안전신고가 2015년에는 203건, 2016년에는 374건 등으로 증가했다. 신고건수가 2년 동안 약 23배 늘어난 것이다.
신고된 12만895건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경기도가 3만4369건(28.4%), 서울시 1만5930건(13.2%), 부산광역시 8732건(7.2%) 순으로 많았다. 신고 유형별로는 도로파손 등 시설안전 분야가 5만1049건(42.2%), 교통안전 분야 3만2495건(26.9%), 생활안전 분야 1만1977건(9.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국가안전대진단 기간(2월 15일~4월 30일)에는 일평균 524건(총 3만9799건)의 안전신고가 접수돼, 지난해 국가안전대진단 기간 일평균 201건(총 1만4718건) 대비 160% 이상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만7705건이 시설물 개·보수에 관련된 것으로 약 258억71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도로정비 65억4100만원(2220건) ▲인도정비 59억8600만원(4430건) ▲교통시설 33억1300만원(6829건) ▲상·하수도 15억9600만원(820건) ▲가로등·보안등 11억9200만원(1463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안전처는 국민들의 안전신고 참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오는 8월부터 판매되는 스마트폰에 안전신문고 앱을 선탑재하기로 스마트폰 제조사와 협의를 마쳤다. 또한 내년부터 시·도 안전신고 실적을 소방안전교부세 교부기준에 반영하기 위해 ‘소방안전교부세 교부기준 규칙개정안’을 개정 중에 있다. 아울러 2017년 하반기에 영어·중국어 등 외국어 서비스를 제공해 안전신고 참여를 더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정종제 안전처 안전정책실장은 “국민들의 신고를 통해 시설 개·보수 등을 시행함으로써 국민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안전산업을 활성화하는 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많은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게끔 홍보와 시스템 개선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