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30대 그룹 상장사 인건비·수익성 분석’ 보고서 발표
생산성과 연계한 임금체계 구축 필요 최근 5년간 30대 그룹 상장기업들의 근로자 1인당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감소한 반면 인건비는 상승해 원가경쟁력이 악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30대 그룹 상장사 인건비·수익성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규모 기업집단에서 공기업과 금융그룹, 상장사가 없는 기업을 제외한 상위 30대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5년(2011∼2015년) 동안 30대 그룹 상장사 근로자의 1인당 매출액은 2011년 10억7993만원에서 지난해 9억6866만원으로 1억1127만원(연평균 2.7%) 감소했다.
또 1인당 영업이익은 2011년 7132만원에서 지난해 5317만원으로 1815만원(연평균 7.1%) 줄어들었다. 반면 1인당 인건비는 2011년 7453만원에서 2015년 8787만원으로 1334만원(연평균 4.2%) 증가했다.
이에 따라 30대 그룹 상장사 근로자 1인당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 비중은 2011년 6.6%에서 지난해 5.5%로 1.1%포인트 감소했으며,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은 2011년 6.9%에서 2015년 9.1%로 2.2%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전경련은 2011~2014년 기준으로 30대 그룹 상장사의 영업이익 비중 하락폭은 1.3%포인트로 모든 기업 평균과 비교해 볼 때 0.5%포인트 높았고, 인건비 비중 증가폭은 1.6%포인트로 평균보다 0.2% 높았다고 설명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대기업의 인건비 비중 상승은 제품의 원가경쟁력 저하로 이어지고, 글로벌 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이 하락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라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생산성과 연계한 유연한 임금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