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이모저모
직장인들은 한 달에 평균 12만원 가량을 경조사비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직장인 1381명을 대상으로 ‘경조사비 지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월 평균 11만9000원을 경조사비로 지출하는 가운데 성별로는 남성이 13만3000원으로 여성(11만원)에 비해 2만3000원을 더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 이상이 14만2000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쓰고 있었고, 30대(12만4000원), 20대(10만3000원)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혼인 여부에 따라서는 미혼자의 경우 10만6000원을 지출하는데 비해 기혼자는 14만6000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나 4만원 정도의 차이가 났다.
경조비 지출금액을 구간으로 나눠봤을 때, ‘10~15만원 미만’이 34.8%로 가장 많았고 ‘5~10만원 미만’이 31.4%로 그 뒤를 이었다. 월 평균 20만원 이상을 경조사비로 쓰는 직장인도 19.5%에 달했다.
특히 직장인들이 지출하는 월 평균 경조사비가 2년 전과 비교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에 직장인 8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월 평균 16만원을 지출한다고 답한 바 있다. 2년 새 직장인들이 지출하는 월 경조사비가 평균 4만 원가량 감소한 것이다.
한편 ‘초청을 받았을 때 가고 싶지 않은 경조사가 있는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94.4%가 ‘가기 싫은 경조사가 있다’고 답했다.
가장 가고 싶지 않은 경조사는 ‘평소에는 어떤 연락도 없다가 갑자기 초대하는 결혼식이나 돌잔치(53.7%)’가 꼽혔다. 이는 2위를 차지한 ‘내 경조사에는 얼굴도 비추지 않은 사람에게 초대받은 경조사(24.9%)’의 2배가 넘는 수치다. 다음으로는 ‘거래처, 직장상사의 친인척 등 참석이 업무인 것처럼 느껴지는 경조사(11.2%)’, ‘교통이 불편한 곳에서 치러지는 경조사(6.5%)’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외에도 ‘황금연휴나 중요한 휴일을 잡아먹는 경조사’, ‘축의금 액수가 부담스럽게 느껴지는 경조사’, ‘친분 없는 사람에게서 초대받은 경조사’ 등도 가고 싶은 않은 경조사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