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응형에서 예방형으로 안전관리 방식 전환
부산지역 건설현장의 안전관리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건설현장 안전관리 방식을 기존의 ‘대응형’에서 ‘예방형’으로 전환, ‘안심 영남국토’를 조성하기 위한 활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지난달 29일 밝혔다.
부산국토청에 따르면 예방형 안전관리체계는 ‘안심 영남국토’라는 목적 아래, 건설안전전문가를 착수·중간·마무리 등 단계별로 참여시켜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이를 위해 부산국토청은 시공사, 건설사업관리기술자 등 건설현장 기술자가 스스로 유해위험요인을 발굴·제거할 수 있도록 ‘건설안전지킴이’와 ‘책임자율점검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참고로 건설안전지킴이 제도는 건설현장의 기술지원기술자를 ‘안전지킴이’로 지정하여 책임건설사업관리기술자, 현장대리인, 공사관리관과 함께 지속해서 현장 안전관리·점검을 실시하고 결과를 작성하는 제도다.
책임자율점검제도는 민간 및 지자체 시행 건설현장 등을 대상으로 건설사업관리기술자, 현장대리인이 직접 반기별 1회 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출하는 것을 말한다.
부산국토청의 한 관계자는 “대절토사면 등 취약공종이 포함된 건설현장은 부산국토청 점검요원과 외부전문가가 합동으로 직접 점검을 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예방형 안전관리’를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