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안전공사, 2007년 12월~2010년 점검결과
최근 2년여동안 CNG버스 부적합 차량이 700여대에 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제부가 한나라당 이종혁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가스안전공사가 2007년 12월 이후 올해 2월말까지 4회에 걸쳐 CNG버스를 점검한 결과 점검대상 30,013대 중 748대(2.5%)가 부적합 차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의원은 지난 8월 발생했던 행당동 버스폭발 사고의 경우 지식경제부와 환경부가 공동 추진한 ‘CNG자동차 안전향상성 연구(2008.12)’에서 이미 문제점이 밝혀졌었음을 지적하고, 관련 당국의 안일한 대비를 질타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행당동 CNG버스사고는 △브라켓 고정불량으로 용기 유동 △브라켓 볼트에 의한 용기 손상 △연료분사용 전자식 밸브 고장 등 3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했는데, 그동안 연구에서 이와 관련한 문제점이 꾸준히 지적됐었다는 주장이다.
이 의원은 “지식경제부와 관련기관이 2년여 시간 동안 관련 문제를 인식하고도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은 전형적인 ‘무사안일’ 행정으로 밖에 볼 수 없다”라며 “앞으로 정밀검사와 상세외관 검사를 3년 단위로 교차 실시하는 등 용기검사 주기를 개선하고, ‘가스 누출검지장치’ 및 ‘긴급차단밸브 시스템’ 등의 부착을 의무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