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실시 결과 점검시간 90% 단축, 점검 수량은 10배 이상 증가해
최근 드론이 각종 사업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한국전력도 드론으로 송전탑 안전관리에 나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국전력은 오는 8월부터 전국 4만2372기의 송전철탑에 설치되어 있는 OPGW(Optical Ground WIre)에 대한 시설 안전점검에 드론을 활용한다고 지난 25일 밝혔다.
OPGW는 한전의 전력계통 제어에 필요한 중추적 신경망을 구성하는 핵심 통신설비다. 이 설비는 철탑 꼭대기에 위치해 그동안 고장 없이 운영하려면 사람이 직접 철탑에 올라 육안으로 설비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한전은 드론을 활용해 작업의 안전성과 점검의 실효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전력의 한 관계자는 “OPGW에 대한 드론 점검을 시범 실시한 결과 점검의 신뢰도가 우수했던 가운데, 인력점검에 비해 시간이 90% 가량 단축되고 점검가능 수량도 10배 이상 늘어나는 효과를 얻었다”며 “우선 올해 드론을 활용해 철탑 1만기를 우선 점검하고 내년에는 3만기를 추가로 점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전은 드론을 활용할 경우 점검시간 등이 단축돼 연간 75억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