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2016년 경영환경 실적·전망 조사 결과’ 발표
기업 10곳 중 4곳의 상반기 경영실적이 연초 계획한 목표치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기업들은 올해 연간 경영전망도 밝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경영환경 실적·전망 조사 결과’를 지난달 31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이 연초 목표치에 미달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41.7%에 달했다. 이는 목표치를 상회했다는 응답(25.7%)보다 16.0%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또 올해 연간 경영전망도 연초 목표 대비 낮을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8.7%로 연간 전망이 개선될 것이라는 대답(25.4%) 보다 13.3%포인트 높았다.
전경련은 이처럼 기업들이 부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는 원인으로 브렉시트, 중국 경제둔화 등 부정적 대외여건을 꼽았다.
기업들도 대내·외적인 경영 악재를 감안해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절반 이상(56.0%)의 기업들은 오는 하반기에 사업 구조조정, 비용 절감 등을 통해 경영내실화에 집중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경영전망이 상반기에 비해 크게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아래 기업들이 외형 성장보다 사업 재편, 내실 다지기 등 생존력 강화에 치중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한편 경영활동을 위축시키는 정부 정책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67.0%는 현재 국회에 발의된 기업 관련 법령 중 기업 경영활동을 가장 위축시킬 우려가 있는 법안 내용으로 법인세율 인상을 꼽았다. 이어 적합업종 법제화(10.5%), 지배구조 개편(8.5%), 청년고용 할당제(5.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법인세율 인상에 따라 국내 투자 및 신규고용 감소(42.3%), 비용 감축(31.3%), 매출 감소(16.0%)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기업 경영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정부의 중점 정책과제로는 기업 규제강화 법안의 최소화(41.0%)라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전폭적인 규제개혁(20.8%), 신성장동력 등 유망산업 지원강화(16.3%) 등도 꼽았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대내외 경제여건이 어려운 것을 감안해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는 규제 법안은 최소화 되어야 한다”며 “정부는 기업의 미래 먹거리를 위한 신성장동력 등 유망산업 발굴과 지원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