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업체와 비정규직의 고용불안 가중시키는 행위”

여성 경제활동 참가·청년맞춤형 일자리 대책도 강화할 것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대기업 노조의 파업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27일, 유 부총리가 주재한 제12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는 ▲2분기 산업별 고용동향 및 대응방향 ▲일·가정 양립 정착을 위한 기업문화 개선 방안 ▲청년·여성 일자리대책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등이 중점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유 부총리는 “민간 부문의 회복세가 미약한데다 구조조정 여파로 조선업 밀집지역의 실업률이 높아지고 있다”며 “국민 모두가 구조조정의 파도를 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지금 일부 대기업 노조가 파업에 나서고 있는데 대해 우려를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유일호 부총리는 “대기업 노조의 파업은 더 절박한 어려움에 처해 있는 협력업체와 비정규직의 고용불안을 가중시키고 경기회복에 찬물을 끼얹는 것으로 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라며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유 부총리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를 확대하는 노력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일·가정 양립은 세계적 조류인 동시에 우리 사회의 생존과제로 대두된 저출산·고령화를 극복하는 관건”이라며 “앞으로 남성의 육아휴직 활성화와 재택근무의 확대를 위해 남녀고용평등법을 개정하는 등 제도적 뒷받침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유 부총리는 청년들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대책도 내실 있게 추진해나갈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유 부총리는 “올해 도입한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채용의 날, 재학생직무체험 등은 기업과 청년의 참여가 관건”이라며 “채움공제는 고교 졸업예정자의 참여를 전면 허용하고 기업에 인턴 선발과 기간 설정의 자율성을 부여해 사회에 갓 진출한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뒷받침하는 모델로 정착시키겠다”고 말했다.
한편 유일호 부총리는 “여름휴가를 국내에서 즐기는 것이야말로 지역경제를 살리고 내수를 활성화하는 가장 손쉽고 확실한 방법”이라며 국민들에게 ‘국내에서 여름휴가 보내기’를 당부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