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2016년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 발표

금융권에서 500억원 이상의 대출을 진행한 대기업 가운데 부실징후가 있는 대기업 32곳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금융감독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6년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 결과를 지난 7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대출금액이 500억원 이상인 기업 602곳의 신용위험을 평가해 32곳을 구조조정 대상 업체로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 정기평가보다는 3곳이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12월 수시평가를 실시해 19곳을 구조조정 대상 기업으로 이미 선정한데 따른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등급별로 살펴보면 워크아웃 대상(기업개선작업)인 C등급은 13개 기업으로 선정됐다. 기업회생절차를 거쳐야 하는 D등급은 19개사가 뽑혔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조선·건설·해운·철강·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 기업이 17개사로 절반(53%)을 웃돌았다. 전자업종의 경우 협력업체의 부진 등으로 2년 연속 5곳 이상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10조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확정한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3사는 회생 가능성을 판단해 이번 구조조정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반면 자체적인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진해운은 이번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증감률을 보면 철강과 건설은 줄어든 반면 조선과 해운 등은 늘었다. 특히 건설업은 최근 주택 경기가 회복세를 보인 데 힘입어, 지난해 13개 기업에서 이번에 6개 기업으로 구조조정 대상이 대폭 줄어들었다.
구조조정 기업들이 금융권에 빌린 신용공여액은 총 19조5000억원으로 1년 전 12조4000억원 보다 57.3% 급증했다. 특히 중대형 조선·해운사의 비중이 80%에 달하고, 은행권에 빌린 돈이 90% 이상이었다.
다만 금융권의 손실흡수 여력을 감안할 때 금융사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금감원은 봤다. 상반기 중 은행권이 쌓은 충당금 규모는 3조8000억원으로 올해 추가 적립액은 은행이 2300억원, 저축은행은 160억원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C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한 금융지원과 자산매각, 재무구조 개선 등을 통해 경영 정상화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워크아웃을 신청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규 여신을 중단하고 만기도래 여신을 회수할 수 있다. D등급으로 선정된 19개 기업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게 된다.
한편 구조조정 대상 업체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재무구조와 수익성이 취약한 업체 중 자산매각 또는 증자 등을 통해 자체 자구계획을 수립하거나 진행 중인 업체는 26곳이었다. 금감원은 이들을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 업체로 선정해 자구계획 이행상황을 점검·관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