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활용근로자 수 늘리고 재택·원격근무 인프라 구축까지 지원
앞으로 중소기업의 유연근무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대될 전망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5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유연근무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고용부는 일·가정 양립 환경개선을 위해 ‘일가양득 캠페인 사업’을 진행 중이다. 그 일환으로 유연근무 도입 시 활용근로자 1인당 월 최대 30만원을 총 근로자의 5% 이내에서 1년간 지원하고 있다. 또 재택·원격 근무 도입 시 활용근로자 1인당 월 최대 20만원을 총 근로자의 10% 이내에서 최대 1년간 지원 중이다.
이런 상황 속에 고용노동부는 앞으로 ▲지원조건 완화 ▲지원내용 확대 ▲인지도 제고 등을 통해 제도를 더욱 활성화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현재의 유연근무(피보험자수의 5%), 재택·원격근무(피보험자수의 10%) 지원자 수 한도를 조정해 사업장 내 유연근무 활용 근로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의 간접노무비 지원에 더해 인프라 구축 지원도 신설할 방침이다. 제도를 도입했지만 관련 인프라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많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고용노동부는 그룹웨어 등 내부정보·보안시스템 구축, 통신장비 마련, 인사담당자 교육 등 원격근무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일·가정 양립제도의 인지도를 제고시키는 데에도 주력한다. 이를 위해 우수사례를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재택·원격근무 매뉴얼을 제작·보급할 계획이다. 또 여성가족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와 협업을 통해 유연근무에 대한 홍보도 강화할 방침이다.
고용노동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 기업의 유연근무 도입률은 3%~12.7%로, 유럽·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라며 “직무부적합, 사내눈치, 비용증가 등 유연근무 확산을 저해하는 사항들을 해결해 제도를 활성화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