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을 대상으로 실시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안전’이 주요 화두가 됐다.
2008년 이후 올해 5월까지 부산지방청 관할 건설현장에서만 266명이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었고 연간 재해근로자수가 3천명이 넘는데도, 부산지방청에서는 현장 안전관리감독 강화방안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이날 의원들 사이에서는 지난 7월 27일 발생한 초고층 아파트 공사현장 추락사고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한나라당 이정선 의원은 “거푸집 철거 기능공이 아닌 하청업체의 안전관리자와 관리감독자가 거푸집 해체작업을 했는데, 그 이유를 명백히 밝히고 타 건설현장에도 이런 행태가 벌어지고 있는지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사고가 발생한 현장은 2007년 6월부터 노사자율사업장으로 승인되면서 단 한차례의 현장 점검도 받지 않았다는 점에서 관리가 얼마나 부실했는지 알 수 있다”라며 고용노동부의 역할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부산 외에 대구․경북지역의 산재문제도 논란이 됐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말 기준으로 대구·경북 지역의 근로자 만 명당 사망률은 1.20으로 전국평균인 0.88보다 크게 높으며, 고용노동부 산하 전국 6개 지방청 중 가장 높은 상황이다.
이 자리에서 환노위 의원들은 “특히 대구를 제외한 경북지역의 사망만인률이 1.57로, 산재예방에 소홀한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2008년 이후 올해 5월까지 부산지방청 관할 건설현장에서만 266명이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었고 연간 재해근로자수가 3천명이 넘는데도, 부산지방청에서는 현장 안전관리감독 강화방안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이날 의원들 사이에서는 지난 7월 27일 발생한 초고층 아파트 공사현장 추락사고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한나라당 이정선 의원은 “거푸집 철거 기능공이 아닌 하청업체의 안전관리자와 관리감독자가 거푸집 해체작업을 했는데, 그 이유를 명백히 밝히고 타 건설현장에도 이런 행태가 벌어지고 있는지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사고가 발생한 현장은 2007년 6월부터 노사자율사업장으로 승인되면서 단 한차례의 현장 점검도 받지 않았다는 점에서 관리가 얼마나 부실했는지 알 수 있다”라며 고용노동부의 역할을 강화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부산 외에 대구․경북지역의 산재문제도 논란이 됐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말 기준으로 대구·경북 지역의 근로자 만 명당 사망률은 1.20으로 전국평균인 0.88보다 크게 높으며, 고용노동부 산하 전국 6개 지방청 중 가장 높은 상황이다.
이 자리에서 환노위 의원들은 “특히 대구를 제외한 경북지역의 사망만인률이 1.57로, 산재예방에 소홀한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