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보건소에 전담팀 3명 이상 배치
행자부, ‘지자체 감염병 대응 조직 개편 방안’ 수립 보건환경연구원 내 독립부서 운영, 검사인력 67명 보강해 전문성 향상
빈틈없는 감염병 대응을 위해 정부가 전국단위 감염병 관리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그에 따른 인력 확충에 나섰다.
행정자치부는 시·도 보건환경연구원·보건소의 감염병 관리 기능 강화를 위한 ‘지자체 감염병 대응 조직 개편 방안’을 수립해 지자체에 통보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정부의 이같은 조치는 국민들을 불안에 떨게 만들었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지카바이러스 등 신종 감염병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자체의 체계적인 대응 역량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계속된 지적에 따른 것이다.
행자부는 이번 ‘지자체 감염병 대응 조직 개편 방안’ 수립에 앞서 현행 감염병 대응 조직에 대한 분석·진단과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쳤다.
이같은 절차를 거쳐 마련된 지자체 감염병 조직 개편안의 핵심은 지역 단위에서 ▲감염병 조기발견 ▲초동대처 ▲후속관리 등이 원활히 진행 될 수 있도록 감염병 대응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담당 인력을 증원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도 지역단위의 감염병 관리 컨트롤타워 기능이 강화된다.
메르스사태 이후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 등에 따른 매뉴얼 정비, 교육·훈련, 총괄 상황 관리 등 시·도의 감염병 대비·대응 기능이 확대됨에 따라 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시도별 전담인력(총 34명)이 배치되며 질병관리본부, 시·도 감염병관리본부 등과의 민관 네트워크도 강화된다.
감염병 전담 독립부서 운영을 통해 전문성도 강화한다.
보건환경연구원 내 감염병을 전담하는 독립부서를 별도로 운영해 전문성을 높이는 한편, 감염병 검사량 증가 등을 고려해 연구원별로 2∼5명의 전문 검사인력을 확충하는 등 전국 16개 보건환경연구원에 총 67명의 검사인력을 보강한다.
전국 보건소에 전담팀도 설치하여 24시간 긴급상황관리도 강화한다.
감염병 발생 시 보건소가 신고·접수, 현장출동 및 환자 이송 등 초동 대응을 전담하고 질병관리본부의 긴급상황센터(EOC)와 연계해 24시간 상황관리를 수행하는 만큼 보건소에 초기 대응 및 상황관리 강화를 위해 최소 3명 이상의 전담팀(또는 계)을 설치하고 전국 254개 보건소에 총 283명을 증원키로 했다.
이밖에도 정부는 감염병 관리 전문성 확보를 위해 5급 상당의 우수 전문인력을 적극 유치하고 전문 직무훈련 등 현업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심덕섭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지역 단위 현장까지 아우르는 국가적 감염병 대응 체계가 정립되고 촘촘한 방역망이 구축될 것”이라며 “관계부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전문적 교육·훈련, 우수 인력 확보 등 지자체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